|
|
AI 차단방역 문제점 보완이 절실하다
황성신문 기자 / 입력 : 2014년 03월 17일(월) 09:51
|
 |  | | ⓒ 황성신문 | 주춤하던 조류인플루엔자(AI)가 경북 동부권에서 발생했다. 경주시 천북면의 한 농가의 닭에서 고병원성인 H5N8형이 확인돼 이농가가 있는 희망농원을 포함해 반경 500m 내 30농가의 닭과 오리 53만3천772마리를 살처분 매몰했다.
닭이 53만2천472마리고, 오리가 1천300마리이다.
매몰 작업에 공무원, 군인 등 888명과 덤프트럭·굴삭기 16대가 동원됐다.
농가들은 애지중지 키운 닭과 오리를 땅속에 묻어야 하는 심정은 말로 표현할 수 없이 타들어갔을 것이다.
왜 이런 일이 일어났는지 우린 깊이 살피고 재발을 막아야 한다.
그동안 전남·북, 충남·북, 경기, 경남에서만 발생해 경북지역은 AI 청정지역으로 남아 있는가 싶었다.
그러나 결국 경주에서 뚫리면서 차단방역의 허점이 도마에 올랐다.
천북의 AI발생농가는 평택에서 5천200마리의 닭을 입식하면서 방역당국에 신고를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AI 바이러스에 감염된 닭이 경주로 들어온 사실은 평택농장에서 분양받은 안성의 한 농가에서 AI 의심신고가 접수되자 평택농장에서 분양한 경로를 역추적해 경주의 농가에서도 닭을 들여온 사실을 알게 됐다.
희망농원의 농가가 평택에서 닭을 입식한지 3일 만이다.
농가는 또 닭을 평택에서 경주까지 운송과정에 15마리가 폐사했고, 입식 후에도 20마리가 죽었지만 이런 사실을 경주시에 신고하지 않았다.
이는 농가가 입식 전에 입식계획을 신고하도록 행정지도를 해야 하는 경주시가 책임을 피할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이때 입식신고만 제대로 이뤄졌다면 방역당국이 AI확산 등의 상황을 보고 입식여부를 판단해 농가에 입식을 늦출 것을 요청하거나 입식 후 다시 임상 관찰을 통해 특이증상 유무를 확인하게 되면 문제는 달라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AI가 지난 1월 17일 전북 고창에서 발생해 50여일 째 전국으로 확산되면서 온통 비상이 걸렸는데도 산란계를 집단으로 사육하는 농가나 경주시가 이처럼 허술하게 대응한 것이다.
지역민들은 경주시가 경부고속도로 경주 톨게이트에 방역초소를 설치해 놓았지만 평소에 지키는 사람은 없고 노란 옷을 입은 로봇형 허수아비만 손을 흔들고 있었다며 차단방역에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 아니냐고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사실여부를 떠나 AI 확산으로 온 나라가 비상이 걸려 있는 상황에서 허수아비를 방역초소에 세워놓은 것이 타당한지 방역당국은 깊이 생각해 봐야 한다.
경북도 AI방역대책본부는 AI가 확산되자 일선 시군의 가금농가에 대해서는 입식자제요청, AI 발생지역 인근 부화장에서 분양제한, 산란노계 도태시 GPS미장착 차량의 농장출입금지 등 강도 높은 차단 방역을 주문했다.
그런데도 이번 AI가 발생하기 전 경주에서는 지난 1일 천북면의 다른 농가에서도 평택에서 4천마리, 충남 당진에서 2만4천500마리의 닭을 입식한 것으로 드러나 방역당국의 지시가 농가에까지 전달되지 않았다는 것을 반증한다.
우리나라는 2003년 이후 10여년 동안 2~3년 주기로 AI가 다섯 차례나 발병했다. 악순환이 되풀이 되는 원인을 살펴야 한다. 집단사육의 열악한 환경, 기후 변화로 인한 기온 상승 등으로 AI 바이러스는 해마다 변종으로 진화하고 있다고 한다. 이번 사태로 행정과 농가의 관계, 차단방역의 문제점을 면밀히 파악하고 분석해서 잘못된 제도는 개선하고 관계자의 과실이 나타나면 엄중 문책해야 한다. 그래야만 AI 공포에서 벗어날 수 있다.
|
|
황성신문 기자 - Copyrights ⓒ황성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
|
최신뉴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