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선거와 지역신문
황성신문 기자 / 입력 : 2014년 06월 09일(월) 15:28
|
 |  | | ⓒ 황성신문 | 사기업인 언론사가 언론의 자유라는 특권을 누리는 것은 국민의 알권리를 충족시키는 공익적 기능 때문이다. 따라서 상업적 이윤 추구에만 매달리고 국민의 알권리를 외면하는 언론사는 언론의 자유를 누릴 자격이 없다. 국민의 알권리 중 언론사가 가장 우선적으로 충족시켜주어야 할 대상이 정치인과 공직자에 관한 정보이다. 그들은 국민으로부터 주권을 위임받은 심부름꾼이기 때문이다.
지역신문은 주인이 시키는 일을 제대로 하고 있는지 감시자가 되어야 한다. 여기서 지역신문은 어떤 성격을 띠고 있는지 설명이 필요한 것 같다. 한글 대사전에 따르면 ‘지역’은 일정한 땅의 구역이고, ‘지방’은 서울 밖의 땅이라고 표기 하고 있다. 지방은 중앙의 주변을 지칭하는 종적인 개념이다. 즉 중심인 수도 서울에 포함되지 않는 변방을 의미한다.
따라서 지방언론은 서울 아닌 곳에서 제작되고 배포되는 신문이나 방송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 일정한 땅의 구역을 지칭하는 지역은 횡적이고 평등한 개념이다. 지역이란 개념에는 중심과 변방의 구별이 없다. 따라서 서울이든 지방이든 모든 장소는 지역이 된다. 서울도 지역이고 부산도 지역이고 경주도 지역이다. 다시 말하면 풀뿌리 ‘지역신문’은 공동체의 성격을 지닌 생활거주지역(community) 주민을 주된 대상으로 발행되는 신문으로 정의할 수 있다.
선거는 유권자의 현명한 선택이 필수적이다. 현명한 선택을 하기 위해서는 정치인들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있어야 한다.
그러나 정치인들은 자신들에게 불리한 것은 감추고 유리한 것들만을 선전하면서 상대 정치인들의 약점만을 들추어낸다. 특히 선거 때일수록 정확하지 않는 정보가 마구 유포되어 유권자들을 현혹시키기 마련이다.
그 한 예가 이번 경주시장 선거에서 나타났다. 후보들의 사생활이라고 하지만 고위 공직자가 되기 위해서는 거쳐야 할 도덕성 등 자질 검증문제가 불거졌다. 아니 땐 굴뚝에 연기 날까(?) 하는 유권자들의 궁금증을 풀어 줄 수 있는 것도 역시 지역신문의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
정치보도는 전국지나 지방지일수록 힘들어진다. 다뤄야 할 정치인들이 너무 많은 탓이다. 이런 상황에서 정치인들을 개별적으로 세밀하게 감시·비판하고 유권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가장 충실히 제공할 언론매체는 거대한 중앙언론이 아니라 각 시군구에서 발행되는 풀뿌리 지역신문이다.
국민들에게 가장 필요한 정치뉴스는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을 대표해 선출된 정치인들의 활동소식이기 때문이다. 과연 그들이 선거 때 약속한 공약을 지키고 있는지, 지역주민들의 의사를 제대로 대변하고 있는지 지역 언론만이 제공할 수 있는 뉴스이다. 정치뉴스의 제공, 특히 선거보도는 지역사회에 뿌리를 내리지 못한 지역신문들이 그 위상을 확고히 하는 기회가 된다.
하지만 지역신문들도 개선해야 할 점도 많다. 주간으로 발행되는 지역신문은 대부분 10명 내의 직원이 1년 매출 3~5억 원 정도 올리며 유지할 수 있는 영세기업이다. 그렇다 보니 경영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정치권의 압력이나 위협으로 인해 편집권이 제약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다음으로 경력 많은 기자를 채용할 수 없다는 것이다.
우수한 기자를 확보하지 못하는 것은 심층뉴스 제공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민초의 희망이 담긴 풀뿌리 지역신문을 통해 지방정부의 예산낭비를 감시하고, 지역정보 활성화를 통해 지역사회의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지역언론이 우선 활성화 되도록 지역민들의 관심이 필요하다.
<이종훈 본지 발행인>
|
|
황성신문 기자 - Copyrights ⓒ황성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
|
최신뉴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