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최근 이상고온 현상이 지속됨에 따라 무더위로 인해 발생 가능한 열사병, 열탈진 등의 건강피해에 대한 감시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도는 6~9월까지 4개월간 응급실을 운영하는 의료기관 39개소, 보건소 25개소 등을 대상으로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 감시체계’를 운영한다.
이는 응급실에 내원하는 온열질환 환자의 진료사례를 수집하고, 피해사례를 전국으로 전파해 폭염 피해를 최소화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온열질환이란, 열에 노출돼 발생한 열사병, 열탈진, 열경련, 열실신, 열부종 등을 말한다.
도는 이러한 감시체계를 바탕으로 도민들에게 폭염대비 건강수칙과 온열질환의 증상 및 응급처치 방법을 홍보해 보다 건강하고 안전한 여름을 지낼 수 있도록 지도할 계획이다.
가장 우선적인 행동수칙으로 물을 규칙적으로 자주 마시기, 헐렁하고 밝은 색깔의 가벼운 옷을 입기, 양산, 모자 등으로 햇볕을 차단하도록 하기, 낮 12시에서 오후 5시까지 더운 시간대는 외출을 자제하고 휴식을 취하는 것 등이 있다.
특히, 고령자와 독거노인, 어린이, 야외근로자, 만성질환자(고혈압, 심장병, 당뇨 등)는 폭염에 더욱 취약할 수 있으므로 폭염관련 질환 발생이 의심되면 즉시 119로 연락해 응급처치를 받도록 해야 한다.
한편, 지난해 실시한 도내 폭염 건강피해 감시활동에서는 피해사례가 모두 138명이 신고 됐으며 그 가운데 사망 2명, 입원치료 41명, 간단한 치료 후 퇴원 95명이었다.
이원경 경북도 보건정책과장은 “올해 6월의 기온이 평년보다 높고 더운 날이 많을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노년층과 고혈압, 당뇨병, 심장질환 등 만성질환자는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며 “현기증, 메스꺼움, 두통, 근육경련 등 이상 증상을 느낄 경우에는 즉시 응급실을 찾아 응급처치를 받도록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