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사 기준은 ‘내 사람 심기’ 아닌 공정성
황성신문 기자 / 입력 : 2014년 07월 07일(월) 14:56
|
새로 선출된 지방자치단체장들이 자치단체 행정력을 장악하고 행정 쇄신을 통해 업무의 효율성을 높인다는 측면에서 인사를 단행하는 것은 필연적이다.
경주시도 지난 1일자로 1차 국·과장급 인사를 단행 했다. 논공행상, 정실인사라는 뒷말이 무성하다.
이어질 경주화백컨벤션센터장, (재)경주문화재단 사무처장, (재)신라문화유산연구원장, (사)경주시종합자원봉사센터장 등 4개 출자·출연기관의 인사도 시장 의중이 절대적이다.
또 추진될 가칭 ‘경주시 시설공단’ 임직원 인사도 마찬가지다.
일부 시 고위 공무원이 선거 전후 이곳의 장(長)으로 가기 위해 시장에게 충성 경쟁을 벌여왔다.
임기 만료된 출연기관의 장과 선거캠프에서 활동한 몇몇 전직 교수 이름도 벌써부터 오르내리고도 있다.
인사권을 선거 승리의 전리품으로 여겨 논공행상의 틀 속에서 ‘내 사람’을 챙기는 데 활용한 예가 어떤 결과를 가져왔는지 지난 세월 경험에서 충분히 확인했다.
출자·출연기관장의 경우 고도의 전문성이 요구되는데도 선거 때 공(功)에 따라 자리가 채워진다면 많은 부작용이 뒤따를 수 있다.
2011년 (재)경주문화재단 사무처장, 신라문화유산연구원장 선임 때도 ‘제사람 심기’ 또는 ‘보은성 인사’로 논란을 빚었던 것이 한 예다.
따라서 최양식 시장이 인사에서 지켜야 할 첫 번째 원칙은 바로 공정성이다. 공정하지 않은 인사는 설득력을 잃게 되고 조직의 힘을 약화시킨다. 그 다음 원칙으로 내세울 것이 적재적소 배치다.
인사가 만사라는 것은 지방자치단체 경영에서도 그대로 적용되는 원리다. 잘못된 인사가 정책 입안과 시행을 어렵게 하고 조직을 무력하게 만드는 경우를 수도 없이 봐 왔다.
우리는 지난달 30일자 신문에서도 민선6기 성공을 위해서는 인사 등의 첫 단추를 잘 끼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다시 한 번 더 강조한다.
이번 산하 출자·출연 기관의 인사가 공정하게 이뤄져야 경주가 역사문화 창조도시로 발전을 앞당길 수 있 있다. 반대로 내 편에 섰던 공직자를 인사권자가 챙긴다면 경주시의 미래는 어둡게 된다.
|
|
황성신문 기자 - Copyrights ⓒ황성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
|
최신뉴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