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북지역 사회복지시설 도심에만 집중
접근성 격차 지역별로 1.5~2배
장애인.생활기초자 불편 가중
군 지역 등 외곽까지 확대돼야
황성신문 기자 / 입력 : 2014년 08월 18일(월) 17:15
|
경북도내 복지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도민들 가운데 시 지역과 도 지역간의 사회복지시설의 접근성 격차가 1.5~2배 정도 차이가 나 도지역의 시설 접근성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도시지역과 농촌부문 간에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북 북부권은 기초생활수급자와 장애인 분야에서 가장 낮은 접근성을 보여 해결이 시급한 것으로 전망됐다.
이러한 사실은 경북행복재단이 지난 2월부터 7월까지 경북 23개 시·군 지도자료, 서비스 수요와 관련해 시군의 협조를 받아 사회복지통합관리망(행복e음)의 기초생활수급자, 장애인, 노인 관련 자료, 서비스 공급과 관련된 사회복지 이용시설 중심 관련 자료를 수집한 후 GIS 분석 방법을 통해 작성한 연구보고서 ‘GIS를 활용한 사회복지 수요 공급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분석에는 지난해 12월 기준 경북의 사회복지대상자 중 기초생활수급자 9만5천명, 장애인 16만7천명, 노인 34만8천명 등 모두 61만명과 시설자료는 일정기준에 따라 도내 사회복지 이용시설 247곳이 활용됐다.
보고서는 도내 시지역 중 대부분 시설들이 중심지역에 밀집돼 있으나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이용자들은 전 지역에 산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으며 해안 지역과 산간 지역에 대해서는 복지서비스 확대가 필요한 지역으로 판단돼 시설이 보강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특히 포항시의 경우 대부분의 사회복지시설이 도심지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으나 대상자들은 도심지에 집중되는 경향과 동시에 전 지역에 산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기초생활 수급자 관련 시설의 경우 시 외곽지역 시설이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 관련 시설도 북부지역 일부를 제외하고는 거의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 해변을 중심으로 한 동해면, 장기면 등 동남부지역은 서비스 보강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도내 군지역의 경우 시설수가 적어 대부분의 시설이 인구 밀집지역인 군청 소재지를 중심으로 설치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보고서는 1개 시설에 복합적 복지서비스 제공할 수 있는 ‘다기능 시설 설치’, 예산 등의 이유로 지역별로 설치가 곤란할 경우 ‘권역별 시설 설치’, 기존 시설의 ‘프로그램 및 기능 강화’, 기존 시설의 ‘시설 규모 확장’ 등 시설을 추가 증설하거나 시설 기능을 강화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
|
황성신문 기자 - Copyrights ⓒ황성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
|
최신뉴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