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는 지난 25일 오후 알천홀에서 미래창조과학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원자력해체기술연구센터의 유치를 위한 ‘원자력해체기술종합연구센터 경주 유치위원회’ 출범식을 가졌다.
|  | | ⓒ 황성신문 | |
이번 유치위원회는 경주시와 시의회,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을 비롯한 공공기관과 동국대, 한동대, 위덕대 등 학계, 그리고 산업계, 연구계, 언론계, 종교계 및 각 시민단체 등 54명으로, 자문, 정책, 홍보, 대외협력 등 4개 분과로 구성해 올 연말 결정이 있기까지 다양한 노력과 활동을 펼칠 예정이다.
유치위원회 공동위원장은 최양식 경주시장과 이계영 동국대 총장이 맡기로 했으며, 경주 유치를 위한 대정부 활동과 전략 수립, 그리고 공감대 형성을 위해 각 분야의 전문가인 위원들이 서로 긴밀하게 협조하고 활발하게 활동할 것을 한 목소리로 결의했다.
최양식 경주시장은 출범사를 통해 “경주는 2020년 중반기에 해체가 예상되는 월성 1호기와 함께 다양한 유형의 원자로를 보유하고 있어 원자력해체기술연구센터의 유치에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며 “경주시민의 단합된 노력”을 주문했다.
한편 미래부는 원전해체기술 실증과 검증을 위한 연구시설인 원자력해체기술종합연구센터의 설립을 위해 예비타당성 조사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글로벌 원전해체시장은 현재 세계적으로 해체 대기 중인 원전이 120여기 정도로, 그 규모가 2030년 500조원, 2050년에는 1천조원에 이를 것으로 보여, 원전산업의 가장 전망 있는 블루오션으로 떠오르고 있다.
따라서 원전해체시장에서의 국가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도 정부의 원전해체 기술개발 대책과 산업육성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