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 개 기관이 25년간 '독식' 경주 문화재 발굴정책 '엉망'
정수성 의원, 특혜 의혹 지적
장성재 기자 / jsjaeya@gmail.com 입력 : 2014년 10월 27일(월) 17:12
|
 |  | | ⓒ 황성신문 | 문화재청 산하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가 지역 내 문화재 발굴 사업을 25년이나 독식하고 있어 특혜 의혹 등 발굴정책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특히 경주 신라왕궁 복원사업이 본격 시작되는 올해 문화재청은 경북 소재 18개 매장문화재 조사기관 가운데 문화재청 소속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한 곳만을 지정해 발굴하도록 계획하고 있다. 이에 장기간 발굴에 따른 시민불편이 가중될 것이라는 견해가 나오고 있다.
지난 20일 새누리당 정수성(경주·산업통상자원위원회)의원에 따르면 문화재청은 등록된 18개 조사기관 가운데 가능한 다수의 기관을 투입해 조사·발굴을 함으로써 시민 불편을 최소화 할 수 있지만 유독 문화재청 산하 특정 연구소만을 고집하고 있다.
정수성 의원은 “도심지에 위치한 경주 쪽샘지구 발굴사업의 경우도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가 단독으로 실시함으로써 발굴기간만 25년(2006~2030)에 달해 도심은 황폐해지고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장소가 ‘비행청소년들의 낙원’으로 전락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 의원은 “경주시민들은 시민불편은 아랑곳하지 않고 대규모 발굴사업을 단 한 개 기관만을 지정해 온 것은 특혜이고 사업을 장기간 끌고 가려는 목적이라 감사원 감사청구도 불사하겠다는 입장” 이라면서 “시민불편을 무시하는 문화재청의 복지부동이 오늘날 문화재 발굴 정책의 현 주소로 이번 기회에 발굴정책에 대한 근본적 대책을 강구해야한다”고 덧붙였다.
또 “경북도지사, 경주시장, 경주시의회 의장 등과 협의결과 발굴기관을 10개 이상 집중 투입해 발굴함으로써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고 의견을 모으고 발굴 통제단을 편성해 관리 감독을 철저히 함으로써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정 의원은 매장문화재 조사기관 집중 투입을 논의하기 위해 관계기관과의 회의를 개최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
|
장성재 기자 jsjaeya@gmail.com - Copyrights ⓒ황성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
|
최신뉴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