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주사한방, 자궁경부전암 '굿바이'
매년 10만명 당 9명 사망
DNA치료 백신 개발
성영철 교수팀 최초 규명
장성재 기자 / jsjaeya@gmail.com 입력 : 2014년 11월 11일(화) 16:01
|
미래창조과학부(이하 미래부)가 국내 연구진이 자궁경부전암을 완치할 수 있는 유전자(DNA) 치료 백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자궁경부전암뿐만 아니라, 발암성 인유두종바이러스 (HPV, Human Papilloma Virus) 감염에 의해 발병되는 자궁경부암, 구강암, 항문암 및 외음부암 등 여러 종류의 암 치료로도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포스텍 생명과학과 성영철 교수 주도로 수행한 이번 연구는 미래부의‘바이오신약장기사업’과 보건복지부의 ‘신약개발 임상·비임상 지원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자궁경부전암은 인유두종바이러스(HPV)에 의해 발병하는데, 국내의 경우 2011년 12월 현재, 국내 전체 여성(약 2500만명) 중 약 17.6%(약 440만명)가 HPV에 감염되고 있다. 아울러, HPV 환자 중 14.1%(약62만명)가 자궁경부전암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매년 전체 여성 중 10만명 당 9명이 사망에 이르고 있다.
자궁경부전암뿐만 아니라 자궁경부암을 예방하는 백신이 ’06년에 최초로 개발되어 전세계적으로 접종되고 있으나, HPV에 감염된 환자들에게는 치료의 효과가 없기 때문에 자궁경부의 병소를 제거하는 원추절제술에 의존할 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원추절제수술은 자궁협착, 조산, 유산 등 여러 합병증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고, 수술을 통해 HPV를 완전히 제거하지 못할 경우 자궁경부(전)암이 재발하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연구진은 자궁경부전암 후기 환자를 대상으로 DNA 치료백신을 투여한 결과, 환자의 78%(총 9명 중 7명)에서 HPV가 완전히 제거되면서 병변이 치료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자궁경부전암 완치를 위해서는 다기능 킬러 T세포 (Polyfuctional Killer T cell)의 활성유도가 중요하다는 것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
성영철 교수는 “이번 연구 성과는 부작용이 많은 기존의 치료법을 보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HPV에 의해 발병되는 자궁경부암, 구강암 등의 치료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고 연구의의를 밝혔다.
아울러, 성 교수는 “지난 2014.5월부터 국내에서 임상 2상 시험을 진행하고 있으며 2015년부터 미국, 유럽 국가를 중심으로 글로벌 제약사와의 적극적 협력을 통해 세계 최초의 자궁경부전암 치료백신 출시를 목표로 임상 개발을 가속화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
|
장성재 기자 jsjaeya@gmail.com - Copyrights ⓒ황성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
|
최신뉴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