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타협하지 않고 폐간의 정신으로 끌고 가겠다
황성신문 기자 / 입력 : 2015년 02월 03일(화) 15:07
|
 |  | | ⓒ 황성신문 | 지난달 27일자로 ‘황성신문’이 창간 1 주년을 맞았다. 질풍처럼 달려온 지난 1년을 돌아보면 새로운 감회에 젖어 든다. 약자의 대변지로, 강자의 견제지로 나 름대로 신문본연의 의무를 다하려고 노력해왔다. 1년 동안 황성신문을 발행하면서 한 번도 불 의와 타협하지 않았고 권력에 기생하며 이득을 취하지 않았다. ‘황성신문’의 역사를 살펴보면 1898년 9월5일 남궁 억은 나수연 등과 함께 외세 침입에 대해 국민을 계몽하고 항쟁의 정신을 기르기 위해 대 한황성신문의 판권을 인수 받아 발행한 항일신 문 이다. 1905년 11월20일 장지연은 러일 전쟁에서 승 리한 일본이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박탈하기 위 해 1905년 11월17일 대신들을 압박해 강제로 체 결한 을사조약의 부당성을 알리고 조약 체결에 찬성하거나 이를 적극적으로 막지 못한 대신들 을 비판하는 ‘시일야방성대곡(是日也放聲大哭)’ 이란 논설을 황성신문에 게재했다. ‘이날, 목 놓아 통곡하노라’ 당시 황성신문 사 장이자 주필로 있던 장지연은 이 글에서 “우리 대 황제 폐하의 강경하신 성의(聖意)로 거절하 기를 마다하지 않았으니 그 조약의 불성립함” 이라며 고종이 승인하지 않았으니 조약이 무효 라고 지적했다. 당시 황성신문은 을사조약으로 주권을 빼앗 긴 국민들의 억울함과 항일 정신을 일깨워 준 민 족신문으로 이름을 떨쳤다. 감히 당시의 황성신문의 명예에 누를 끼칠까 조심스러우면서도 본지가 제호를 ‘황성신문’으 로 명명한 것은 부족하지만 그 같은 정신을 본받 기 위해 제호를 쓴 것이다. 이제 황성신문은 창간 1년을 맞았다. 경제적으로 어렵고 타개할 수 없는 고난이 따 르더라도 불굴의 정신으로 정면 돌파 해 나가겠 다는 각오를 다진다. 언제 어떤 어려움으로 폐간의 위기를 맡게 된 다 해도 불의와 타협해 적당히 살아가는 여느 언 론처럼 살아가느니 차라리 폐간을 하겠다는 각 오로 견디어 가겠다.
|
|
황성신문 기자 - Copyrights ⓒ황성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
|
최신뉴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