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황성신문 |
제1회 전국 농· 축·수협 동시 조합 장 선거가 지난달 25일 후보 등록을 마치고 본격 선거전 에 돌입했다.
공식 선거운동 기 간은 2월26일부터 선거 전날인 3월10일까지이다. 예전에는 조합별 로 따로 선거를 치렀는데, 조합원 수가 평균 2천 명 안팎으로 그 수가 적다보니 느슨한 선거관리 속에 각종 불법·탈법 선거가 난무했다.
이를 막기 위해 올해부터는 중앙선거관리위 원회의 주관 아래 선거를 치르지만 과열·혼탁하 기는 마찬가지이다.
그래서 검찰까지 나섰다. 공안검사를 전원 투 입하고, 선관위에서는 최고 1억원의 포상금을 내거는 등 ‘돈 선거’척결을 위한 단속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그러나 조합장 선거는 지역단위 소규모 선거 인데다가 친인척 관계, 학교 선후배 관계 등으로 얽혀 있어서 신고하기도 쉽지 않으므로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 의문시 된다.
조합장 선거를 ‘3당2락’이라는 말을 하곤 한 다. 3억을 쓰면 당선되고 2억을 쓰면 떨어진다는 얘기다.
조합장이 대체 어떤 자리 길래 거액 금품 살포 가 판을 치고 있는 것일까? 조합장의 평균 연봉 은 1억 원에 수천만 원의 판공비가 주어진다. 조 합 전체의 인사권은 물론 예산과 각종 사업에 대 한 권한, 자금의 조달과 공급, 금융업을 총괄한 다. 이러한 권한을 바탕으로 특정 조합원들에게 특혜를 주기도 한다. 인사권을 남용해 직원으로 뽑아주거나 승진을 시켜 주는 경우도 비일비재 하다.
조합장이 부의(附議)한 사업계획 및 예산안 과 결산보고는 거의 100% 원안대로 통과다. 이 사회, 대의원회가 있으나 있으나마나 한 조직이 다. 조합은 조합원에 의해서도 통제되지 않고 조 합원을 위한 조직도 아니다. 조합은 스스로 자정 (自淨)할 기능을 상실한지 오래이다. 가격 폭락 등에 우는 200만~300만 농민들의 눈물을 모른 다. 조합은 조합원을 상대로 잇속 챙기기에 급급 하고 수익은 대부분이 조합장과 직원의 몫으로 돌아간다.
흔히들 조합의 주인은 조합원이라고 한다. 그 런데 조합의 주인은 온데간데 없고 그 자리에 조 합장과 임직원들이 버티고 있다.
이제 조합을 주인인 조합원에게 돌려주어야 한다. 조합원이 주인인 조합, 조합원을 위한 조 합으로 거듭나야 한다. 그러나 정치권에에서도 이에 대한 논의는 없고 선관위에서도 공명선거, 깨끗한 선거만 부르짖고 있다
논 뚝에 물이 새면 물이 새는 근원을 막아야 되듯이 조합장 선거의 비리를 원천적으로 방지 하려면 조합장의 연봉을 줄여야 한다. 조합장의 연봉이 고액이다 보니 후보자가 돈선거의 유혹 을 쉽사리 떨치기가 어려운 것이다.
조합장은 지역 경제를 책임지고 있는 자리이 기 때문에 조합원들에게는 총선에 못지않게 중 요한 선거이다. 조합원은 앞으로 4년간 누가 과 연 조합의 발전과 조합원의 실익증대에 이바지 할 후보인지 선거 홍보물을 꼼꼼히 따져보고 소 중한 한 표를 행사했으면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