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황성신문 |
경주는 신라 천년 도 읍지로서 유서 깊은 고 장이다 남산의 정기 속 에 숱한 전설과 유적들 이 많다.
화랑의 민족정신과 긍지가 숨 쉬는 경주는 전통문화의 계승과 지 역민의 긍지와 자부심 이 대단하다
이러한 고장에서 생산된 경주 체리의 특징은 우리나라 최고이자 최대 체리 생산지역이며 경 주는 신라의 수도로서 적어도 신라시대부터 체 리를 생산한 기록은 물론 경주에는 현존하는 가 장 오래된 체리 농장이 있으며 현재 우리나라 체 리 생산량의 40% 이상을 차지한다는 이곳 체리 의 전년 생산 현황을 보면 98농가가 55ha를 재 배하여 약 11억여 원의 소득을 올렸다. 경주의 체리는 이제 경주의 새로운 대표작물로 급부상 하고 있다.
벚나무 열매인 ‘버찌’는 ‘벚(나무)+씨’에서 유 래된 순우리말이다.
버찌는 여인의 붉은 입술에 자주 비유되는 동 양 팬 체리 앵두와는 속(屬)이 같고 종(種)이 달 라 사촌 정도에 속한다고 한다.
앵두나무는 키가 작은 관목인 데 반해 벚나무 는 키가 큰 교목이다. 당도는 앵두보다 체리가 높다.
전에는 수작업으로 선별된 버찌를 시장에 직 접 내다 팔았지만 2006년부터는 농협 경주시 연 합사업단으로 보내진다.
이곳에서 경주시 공동브랜드‘이사금’으로 옷 을 갈아입고 2kg(24,000원), 1.5kg(18,000) 규격 으로 포장돼 서울·부산 등 전국 각 지역으로 팔 려나간다.
타 지역과 달리 경주 화천리 버찌가 유명한 것 은 역사가 깊기 때문이다. 1938년 일제 강점기 시절 국내 최초로 심은 10여 그루의 벚나무가 버 찌 재배의 토대가 됐다 “일제시대에는 농사라기 보다는 먹기 위해 집 근처에 몇 그루 심었을 뿐 이고, 시장에 본격적으로 내다 판 것은 1964년부 터였다”고 한다.
실제로 경주 버찌의 특징은 유난히 검붉다는 점 이는 기후적인 특성도 있지만 오래된 기술 축 적과 ‘정성’덕이 더 크다고 하겠다.
버찌 농가는 그동안 힘든 시기를 보냈다. 특히 1980~90년대 말 수입산 체리와 앵두가 들어오 면서 버찌 판매량이 급격히 감소했다.
비슷한 품질의 체리와 앵두 가격은 버찌보다 훨씬 쌌기 때문이다. 이 무렵 마을 청년이 하나 둘 대도시로 떠나면서 ‘일손 부족’ 현상도 심화 됐다.
버찌는 기계로 수확하지 못한다. 수확과 선별 작업에는 반드시 사람 손이 필요하다.
일손 부족으로 다른 작물로 교체하거나 농촌 을 떠난 농민도 적지 않았다. 하지만 화천리 농 가만큼은 버찌 역사를 계승한다는 자부심으로 버텨왔다. 경주 버찌의 인기 비결은 바로 여기에 있다.
버찌의 효능을 입증하는 연구결과가 잇따르면 서 경주 버찌 인기는 더욱 높아지는 추세다.
미국 미시간대 연구진도 “안토시아닌은 아스 피린보다 10배 높은 소염효과를 나타낸다”라며 “관절염 환자가 버찌 주스를 꾸준히 마시면 염증 과 통증이 완화된다”라는 내용의 연구결과를 발 표했다. 또 버찌 차와 주스 등은 감기 기침 천식 등 기관지 질환과 심장병 뇌졸중 등 혈관 질환 예방에도 좋으며 안토시아닌 성분이 암을 예방 하고, 발암성 물질의 생성을 줄인다는 연구결과 도 나왔다. 100g당 60kcal로 열량이 낮아 다이어 트용으로도 각광받고 있다.
이젠 경주 체리는 차별화와 지리적 표시를 중 요시하는 EU와의 FTA 협정 체결을 대비 국가 간 경쟁, 타 지역과 유통주체들과의 무한 경쟁 체제에서 이기기 위하여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지역 우수한 농산물 및 가공품의 지리적 표시를 등록. 보호함으로써 지리적 특산품의 품질 향상, 지역 특화사업으로 육성하기 위하여 심혈을 기 울이고 있다.
최적지에서 생산된 우수한 경주 체리가 지리 적 표시 등록이 되면 상표법으로 보호받게 돼 타 지역의 생산제품과 차별화되는 것은 물론 브랜 드 가치가 높아져 농가 소득증대와 우수 지역 특 산품으로 자리매김은 물론 우리 농산물의 경쟁 력을 강화하고 소비자에게 충분한 제품 구매정 보를 제공하여 소비자의 알 권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라도 지리적 표시 등록이 시급하다고 하겠다. |  | | ⓒ 황성신문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