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틱 장애, 관심과 노력이 치료의 첫걸음
6~7세 발명률 높아
황성신문 기자 / 입력 : 2015년 04월 27일(월) 17:46
|
|  | | ⓒ 황성신문 | | 틱 장애 환자들은 스트레스에 민감하다. 이는 어린이도 예외가 아니다. 부모가 자녀의 틱 증상을 오해하여 벌주려 한다면 아이는 정서적으로 불안해져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하지만 심리적인 원인 하나로 틱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니 스트레스는 악화요인으로서 보아야한다. ▶ 틱의 증상과 특징 아동이나 청소년들에게서 나타나는 틱 장애는 성장이나 학습, 교우관계 등에 악영향을 끼친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꿈을 키우며 밝게 자라야 할 우리 아이들에게 틱 장애로 인한 어려움을 지우지 않기 위해서는 ‘틱’ 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필요하다. 먼저 틱의 증상에 대해 살펴보면, 아이가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눈을 깜빡거리거나 안면근육을 실룩거리거나 소리를 지으며 욕을 하거나 헛기침을 자주하거나 같은 말을 반복하는 등의 증상을 보인다면 틱 장애를 의심해 보아야한다. 틱은 6,7세에 가장 많이 발명하고 빠른 경우 4세 이전부터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 주로 학교에 들어갈 즈음이나 사춘기에 증상이 심해지며 많이 긴장하거나 혼이 나는 상황에서도 증상이 심해진다. 이는 스트레스에 취약한 틱의 특징을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다. ▶ 틱의 원인 틱 장애의 원인은 유전적인 요인, 뇌의 구조적·기능적 이상, 뇌의 생화학적 이상, 호르몬, 출산 과정에서의 뇌손상이나 세균감염과 관련된 면역반응 이상, 심리적 요인 등과 관련이 깊다. 이 가운데서 스트레스와 같은 심리적 요인은 틱의 증상을 악화시켜 우울증이나 성격 변화와 같은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를 초래하기도 하기 때문에 아이들의 스트레스를 줄여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틱의 치료 약물치료:현재까지는 임상적으로 문제가 되는 중등도 증상의 틱 장애 치료에 약물치료가 가장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일과성 틱 장애가 아닌 만성 틱 장애, 뚜렛병의 경우에는 대개 약물 치료가 시행된다. 약물 치료 기간은 환자의 증상 호전 정도에 따라 다르지만, 대개 12~18개월 정도 복용한 뒤에는 양을 줄이기도 한다. 틱은 분명 만성적인 질병이지만 전체적으로 예후는 좋은 편이다. 음성 틱은 완전히 사라지는 경우가 많고 근육 틱 역시 호전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인지행동치료:아동 스스로가 틱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고 조절하는 방법을 습득하도록 도와야한다. 틱은 불수의적이지만 어느 정도는 참을 수도 있으므로 상황에 따라 틱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완훈련과 반대로 근육을 수축시키는 훈련 등도 틱 치료에 효과를 볼 수 있다. 동반질환에 대한 치료:부적응적인 행동과 생각을 교정하며 긍정적으로 사고하는 방법과 문제에 대한 대처전략을 배울 수 있다.
|
|
황성신문 기자 - Copyrights ⓒ황성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
|
최신뉴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