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동료 관리들이 ‘여러 사람이 모두 받았 는데 검군만이 홀로 거절하니, 그 연유를 궁금 히 여겨 그에게 양이 적어 그렇다면 더 주겠다 고 하였다. 그러자 검군이 웃으면서 말하기를 화랑의 무리에서 수행하였기 때문에 의로운 것 이 아니면 천금의 이익이라도 마음을 움직일 수 없다.’ 며 이를 받지 않았다고 한다.
이후 검군의 청렴함을 시기한 동료 관리들이 ‘말이 새어나갈 것을 염려하여’ 그를 암살하기 위한 계략을 세우고 연회에 초대하였다. 검군은 이미 자신의 암살을 예견하고, 모시던 화랑 근 랑에게 가서 ‘오늘 이후에는 서로 다시 만날 수 없다며 작별인사를 고하였다.’ 근랑이 그 이유 를 물었으나 검군이 말하지 않았다. 두세 번 거 듭 물으니 이에 그 이유를 대략 말하였다.
근랑은 관청에 알리든가 도망하라고 하였 으나 검군이 말하기를 ‘내가 죽음을 두려워하 여 여러 사람으로 하여금 죄에 빠지게 하는 것 은 인정상 차마 할 수 없습니다.’ 라고 하였다. 이에 근랑이 다시 그렇다면 어찌 도망가지 않는 가? 하고 되물으니 ‘저들이 굽고 나는 곧은데 도 리어 스스로 도망가는 것은 대장부가 할 일이 아 닙니다.’ 하고, 드디어 모임장소에 가서 독이 든 음식을 알면서도 먹고 죽음을 맞이하였다.
사회 구성원의 한 사람으로 스스로의 신념과 판단에 따라 혼자의 길을 굿굿하게 걸어간다는 것은 정말 힘들고 외로운 일이다. 더욱이 큰 기 근이 들어 자식을 팔아야 끼니를 해결할 수 있 는 절박함 앞에서 동료들의 유혹을 거절하고, 오히려 그 때문에 느껴야 했을 괴로움과 외로 움은 정말 지독하였을 것이다.
절대적 빈곤 앞에서 그가 지켜낸 유혹은 자본 주의 사회를 살고 있는 오늘의 우리에게 가장 무거운 태산이 되어버린 물질적 유혹보다, 목숨 과도 바꿀 수 없었던 청렴이라는 정신적 굳건 함이 소중하다는 것을 검군을 통해 새삼 깨닫 게 된다. 나는 나 자신을 지키며 살 수 있을까? 정약용의 수오재기(守吾齋記)를 다시 한 번 생 각해 본다. (사)신라문화진흥원 부이사장 김호상 |  | | ⓒ 황성신문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