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황성신문 | | ‘경주세계피리축제 만파식적’이 지난 19일부터 21일까지 3일간 경주예술의 전당 일원에서 열렸다. 만파식적(원명은 만만파파식적(萬萬波波息笛)은 삼국유사 기이편에 682년 신라의 제31대 신문왕이 아버지 문무왕을 위해 감은사(感恩寺)를 지은 후 해룡이 된 문무왕과 천신(天神)이 된 김유신(金庾信)으로부터 대나무를 얻어 만든 피리라 한다. 이 피리를 불면 적군이 물러가고 병이 나으며, 가뭄이 들면 비가 오고, 장마 때는 비가 개이며, 바람이 불 때는 그치고 물결이 평온해졌다. 그리하여 이 이름을 만파식적이라 하여 역대 임금들이 보배로 삼았다고 전해져 오고 있다. 피리축제 참여 국가는 한국, 중국, 일본, 스위스, 대만, 우즈베키스탄이다. 행사는 대 전시실에서 30개국 230여점의 피리가 3일간 전시되고, 19일은 실크로드를 통한 악기의 유입과 변화양상의 포럼이 개최됐다. 20일부터 21일까지 이틀간은 소 공연장에서 전국대금경연대회가 열렸다. 특히 지난 19일 오후 7시30분 6개국의 공연단이 펼친 개막공연은 큰 찬사를 받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