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신라시대 도시유적 발굴현장(진흥문화재연구원, 2014. 5) | ⓒ 황성신문 | |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는 10월 24일 시작하 여 11월 15일까지 실시되었다.
인구주택총조사는 5년마다 통계청의 주관으 로 이루어지며, 올해는 현장조사 20%를 표본조 사로 조사원이 직접 집을 방문하여 조사를 실시 하였다.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인구조사는 호적을 기 초로 인구수를 집계한 것처럼 삼국시대와 통일 신라시대에서도 호적 등을 통하여 인구통계를 내었으리라 추정하고 있다. 통일신라시대의 인 구조사는 아주 철저하게 실시하였음을 알려주는 대표적인 자료가 바로 일본의 정창원(正倉院)에 서 발견된 ‘신라촌락문서’이다.
이 문서에는 지금의 청주시 부근에 있던 4개 촌을 대상으로 하여 인구와 토지를 비롯한 각종 경제력이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4개 촌에 대 한 기록인 이 촌락문서에는 크게 현재 상황과 3 년 사이의 감소 내용으로 나뉘어 기록되어 있는 데, 현재 상황에는 3년 사이에 늘어난 내용도 자 세히 적혀 있다. 먼저 촌의 전반에 걸친 사항으 로 촌의 면적, 공연(孔烟), 계연(計烟)의 수치를 기록하였다.
공연이란 가호(家戶)의 단위로서 신라는 거주 민들을 빈부에 따라 9등급으로 나누어 각종 부 담을 지웠다. 이 공연의 등급에 의해 계연이 정 해지는데 이것은 그 촌락의 경제력을 한 눈에 보 여주는 지표가 된다.
촌 전반에 관한 사항 다음에는 현재 촌의 인구 수를 연령별로 기록하고 말과 소, 논과 밭, 유실 수의 숫자를 기록하고, 끝으로 감소된 인구수와 말과 소의 수를 적고 있다.
이 가운데 가장 자세하게 기록한 내용이 바로 인구와 관련된 것이다. 여기에는 현재의 촌 전체 인구수뿐만 아니라, 3년 사이의 변동 사항을 자 세하게 기록하고 있다. 게다가 인구를 연령별로 등급을 지워서 구분하기까지 했다.
성인이 된 사람을 정, 정녀라고 불렀고, 미성년 자인 경우는 소자, 소녀, 추자, 추여자, 조자, 조여 자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부역을 면제받을 나이 가 된 사람들은 제공, 제모, 나이가 많은 노인은 노공, 노모로 구분하였다.
이와 같이 연령등급을 세분화 한 것은 부역동 원 대상을 철저하게 파악하고 관리하기 위해서 였다.
이것은 고려나 조선시대의 성인 남자를 제외 한 인구에 대하여 그리 자세한 조사를 하지 않았 던 것과 차이를 보이는 중요한 특징이다. 그러나 촌락문서에는 촌내의 개별 가호의 인구 사항에 관한 내용은 전하지 않는다. 이러한 점에서 촌락 문서는 촌 단위의 인구사항을 집계한 집계문서 의 성격에 가깝다. 아마도 호적을 기초로 촌 단 위로 집계한 통계자료로 여겨진다.
신라의 인구수를 살펴보면, 중국측 기록에 나 타나는 3세기 중엽경 진한과 변한의 인구는 25 만 명 정도로 추정된다. 신라의 인구수는 ‘삼국사 기’를 보면 668년에 고구려를 정벌하는데 20만 명의 병력을 동원한 사실이 나타난다.
이 20만 명은 군역의 의무를 지닌 정남이 차지 하는 비율이 ‘신라촌락문서’에는 21%에 해당하 고 있다. 이를 감안한다면 5배를 곱한 숫자 100 만이 인구였음을 추정해 볼 수 있다.
신라인구 100만의 중심지 경주의 인구가 17만 8천여 명 정도였고, 대한민국인구 5000천만 시 대의 중심지 서울의 인구는 1천만여 명으로 두 나라 수도의 인구집중비율이 지나치게 높다.
신라의 수도, 경주가 어떻게 변화 발전하였고 또 무엇으로 도시의 기능을 잃었는지? 더불어 신라의 지방인들은 수도 경주를 어떻게 보아왔 는지? 오늘날의 수도 서울은 대한민국의 변화발 전에 얼마만큼 기여할 수 있는지 한번 쯤 미래를 위해 역사를 돌아볼 때이다. 문화유산 둘러보기 : (사)신라문화진흥원 부이사장 김호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