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실크로드 컨퍼런스’에 참석 한 국내외 석학들이 천년 고도 경주를 찾았다. 지난 1일부터 경주 힐튼호텔에 서 경주세계문화엑스포와 유네스코 공 동주관으로 열리고 있는 ‘유네스코 실크 로드 컨퍼런스’에 참석한 국내외 석학 들이 행사 마지막 날인 3일 경주 투어에 나섰다.
이번 행사는 ‘실크로드 경주 2015’를 결산하고, 실크로드의 동단 고도인 역사 속 경주의 우수성을 알리기 위한 것. 영 국, 이란, 중국, 태국 등 세계 각국과 국 내에서 모인 참석자들은 이틀간 발표와 열띤 토론을 벌였다.
행사 3일째 일정은 경주문화답사. 참 석자들은 다소 쌀쌀한 날씨에도 불구하 고 아침 일찍부터 천년고도 경주의 역 사 속으로 빠져들었다.
일행은 먼저 지난 95년 유네스코 세 계문화유산목록에 등재된 석굴암과 불 국사를 찾았다. 석굴암과 불국사는 삼 국유사에 따르면 신라 김대성이 현세의 부모를 위해 불국사를 세우고 전생의 부모를 위하여 석불사를 세웠다고 전해 지는 곳들이다.
통일신라시대 대표적인 석굴사찰인 경주 토함산 석굴암에 들어선 이들은 신라시대 뛰어난 건축미와 성숙한 조각 기법을 보여주는 불상의 정교함과 아름 다움에 감탄사를 연발했다. 불국사에서 는 수목과 돌들이 적절하게 배치된 길 을 따라 오르며 펼쳐지는 전경과 연화 교․칠보교․청운교․백운교 그리고 다보탑 과 석가탑의 유연하고도 아름다운 모습 에 마음을 빼앗기기도 했다.
팀 윌리엄스 런던대 고고학과 교수는 “석굴암에 직접 들어가 가까이에서 그 모습을 볼 수 있어 너무 좋았으며, 불상 의 정교함과 그 우수성에 놀라움을 금 할 수 없다”면서 이와 함께 불국사의 역 사성과 아름다운 모습은 세계 문화유산 으로 손색이 없다고 말했다.
일행이 이어 들른 곳은 괘릉. 신라의 서역과의 교류 등 진취적인 모습을 보 여주는 괘릉에서 참석자들은 원성왕릉 과 서역인 무인․문인상(像)을 꼼꼼하게 둘러보고 해설사의 말을 경청하며 신라 의 교역 문화에 깊은 관심을 표했다.
참석자들의 경주 문화답사는 오후에 도 이어 졌다. 이들은 먼저 경주엑스포 공원을 찾아 경주타워에 올랐다. 82m의 타워 전망대에서 펼쳐지는 보문호수와 탁 트인 모습에 ‘원더풀’을 연발했다. 이 어 지난 ‘실크로드 경주 2015’ 인기 콘텐 츠인 석굴암 HMD 트래블체험관에서는 오전에 찾았던 석굴암의 가상 세계와 만났다.
이동우 사무총장은 “양동마을은 한국 의 전통마을 가운데서도 양반과 농민들 이 분리되지 않고 함께 사는 마을”이라 고 설명했다. 펭 징 지부장은 “경주의 다 른 유적지 등은 방문해 봤지만 양동마 을을 처음”이라며 “이렇게 아름다운 전 통마을에서 많은 사람들이 전통을 지키 고 보존하며 거주하는 모습을 보니 큰 감동을 느낀다”고 말했다. 권나형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