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가 공직기강 확립과 청렴도 향상을 위한 종합대책을 강구했지만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오너가 아무리 강조하고 특별 교육을 통한 대책을 내 놓아도 직원들이 따 르지 않으면 무용지물이 된다.
국민권익위원회가 최근 전국 지자체를 대 상으로 실시한 청렴도 측정 결과를 발표했 다. 이 자료에 따르면 경주시의 종합 청렴도 는 10점 만점에 7.40점을 받아 평가대상 617 개 공공기관 평균 7.89점과 75개 시 단위 기 초단체 평균 7.62점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75개 시 단위 지자체 가운데 경주시는 62 위를 기록해 여전히 경주시의 청렴도는 전국 평균을 밑돌고 있는 것이다.
그 만큼 경주시 공무원 조직이 썩어 있다 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공 무원들의 정신상태가 구태를 벗어나지 못하 고 있다는 증거다.
조선시대의 탐관오리를 연상케 하고 있다. 윤리가 무너지고 있다는 말이다. 공직자라는 특수한 직업분야에서 요구되는 것이 공직윤 리다.
공직윤리란 국민 전체에 대한 봉사자인 공 무원의 신분에서 지켜야할 규범적 기준을 말 한다. 공직윤리는 당위성을 바탕으로 하는 가치 함축적 판단이며, 외부로부터 구체화 된 것이 아니라 인간 내면적인 가치 속에 잠 재해 있으며, 시대에 따른 가치관의 변화를 반영하는 등 세 가지 특성을 지닌다.
공직이 국민전체에 대한 봉사자라는 점에 서 타 직업보다 더 높은 수준의 윤리가 요구 되고 있는 것이다.
공직윤리는 공공정책의 형성과 집행에 있 어서 결정을 내리고 그 결정에 책임을 져야 할 사람 즉 정책관리자가 마땅히 행하거나 지켜야할 도리, 도덕, 또는 규범이다.
따라서 공직윤리는 전체 사회에서 행정이 담당하는 모든 역할들을 보다 바람직하고 공 평하게 수행 되도록 인도하는 규범적 행동기 준이라 볼 수 있다.
부정부패를 비롯해 국민을 불편하게 하는 공무원의 책임 회피나 뇌물수수 행위 등의 행태가 발생해서는 안된다는 말이다.
정부는 이러한 공무원의 부정부패를 방지 하기 위해 ‘공무원 표준 행동강령’을 제정해 공직자들이 직무 관련자로부터 일체의 접대 와 선물수수를 금지하고 있다.
공직자가 청렴해야 나라가 바로 선다. 그 것이 곧 청렴도다. 경주시는 지난해 국민권 익위원회의 청렴도 조사에서 전국 최하위를 기록했다.
국민권익위원회는 지난해 경주시에 공직 기강 확립과 청렴도 향상을 위한 종합대책을 수립하라고 권고 했다.
경주시는 국민권익위원회의 권고에 따라 청렴도 종합대책을 마련하고 지난 2월 400 여명의 공무원들이 경주시청 알천홀에서 청 렴실천 의지를 표명하는 ‘청렴 생활실천 다 짐결의대회’를 열고 청렴조직문화 실현에 솔 선수범 한다는 서약서를 작성해 낭독하기도 했다.
그러나 국민권익위원회의 발표를 보면 경 주시의 청렴서약은 형식적이라는 결과를 낳 았다.일찍이 정약용은 목민이 지켜야할 도리 를 정리한 ‘목민심서’를 내놓았다. 경주시 공 무원들은 정약용의 ‘목민심서’를 필독서로 삼아 교훈을 찾아야 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