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는 최근 여론조사 불법·탈법 등 의심사례에 관한 기사를 다뤘다.
4·13 총선을 불과 40여 일 앞두고 새누리 당 내 공천심사가 본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 불·탈법에 대한 고발전이 잇따르 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는 이번 총선은 상향식 공천이 강 화 되면서 공천심사 과정에 여론조사가 반영 되고 있다며, 여론조사에서 자신에게 유리한 결과가 나오도록 하 기 위한 후보들의 여론 조사 민심왜곡·조작 논란이 끊이질 않고 있 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는 특히 경주지역에 새누리당 예 비후보로 등록한 모 후보자의 캠프관계자들 이 SNS를 이용해 여론조사 시 특정 연령대 와 특정지역을 선택하도록 지지자들에게 지 침을 내린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들은 지지자들과 함 께하는 SNS인 밴드를 통해 선거구에서 진행 중인 여론조사와 관련, “30대는 끝났다고 한 다. 30대를 누르지 마라”, “살고 있는 지역을 질문하고, 나이도 질문한다. 지역 답변도 잘 해야 한다”, “60, 70, 80대라고 해야한다”는 등의 메시지를 전달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보 도했다.
특히 중앙선관위는 중앙선거여론조사공 정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 등록된 모든 여론 조사를 대상으로 ‘후보자 지지율 추이’를 분 석해 여론조사결과를 왜곡한 것으로 의심되 는 44건에 대해 특별조사를 실시한다고 밝 히고 있다.
선거는 공명해야 한다. 지금까지 경주지역 예비후보들은 역대 어느 선거보다 공명한 선 거운동을 펼치고 있다.
그러나 연합뉴스의 보도처럼 여론조사를 유리하게 하기 위해 여론조사 지침을 하달한 것이 사실이라면 공명선거를 해치는 불·탈 법 선거를 자초하고 있다.
지금까지 경주지역 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각 언론사들의 여론조사를 보면 1천명의 표 본을 똑같이 추출해도 조사결과는 각 언론사 마다 천차만별로 나타났다.
같은 날 보도되는 여론조사도 언론사 마다 큰 차이를 보이며 시민들의 판단력이 흐려졌 고, 공정해야 할 여론조사가 시민들로 하여 금 여론조사에 대한 의심을 품을 정도로 들 쭉날쭉한 것이 사실이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의심되는 여론조 사 44건에 대해 특별조사를 한다고 밝혔으 니 경주지역 시민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지금 까지의 여론조사도 특별조사를 통해 깨끗이 밝혔으면 하는 바램이다.
공명선거란 선거과정에서 선거법이 지켜 지고, 국민의 의사가 선거결과에 왜곡됨이 없이 반영 되는 선거, 후보자는 선거법규에 따라 정정당당하게 경쟁하고, 유권자는 외부 의 압력 없이 자기의 의사에 따라 후보자의 자질, 정견 등 합리적 요소를 고려해 투표하 며, 선거관리기관은 적법한 절차와 방법으로 선거를 공정하게 관리함으로서 유권자의 의 사가 왜곡됨이 없이 선거결관에 정확히 반영 되어 그 결과에 대해 누구든지 승복할 수 있 어야 한다. 이것이 공명선거다.
이제 20대 총선이 40여 일 앞으로 다가왔 다. 선량을 자처하며 국회의원이 되겠다는 후보들은 양심에 따라 공명한 선거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 그래야 당선된 자신에게 부 끄럽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