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수원, 이번엔 출퇴근 전세버스 ‘지역 업체 외면’
원전비리 등으로 ‘원전마피아’불리던 한수원, 지역민들과 상생할 수 있겠나
권나형 기자 / skgud244@naver.com 입력 : 2016년 03월 07일(월) 17:05
|
입찰비리와 직원들의 뇌물수수 등으로 이른바 ‘원전마피아’라 불리며 한차례 곤욕을 치른 뒤 쇄신 열풍을 위해 몸부림 쳤던 한국수력원자력(주)이 이번에는 직원들의 출퇴근 통근버스 업체를 선정하면서 지역 업체를 외면해 비난을 받고 있다. 한수원 직원 1천여 명은 이달 중으로 양북면 장항리에 건립된 신사옥으로 완전 이전해 본격적인 한수원 경주시대를 열기 위해 업무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직원들 출퇴근 전세버스를 계약하면서 지역 업체를 외면하고 외지업체를 선정해 지역버스 업체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 한수원은 국가계약법상 계약금액이 지역입찰 금액을 초과한 전국입찰 금액이라는 논리로 출퇴근용 전세버스 입찰을 전국업체를 대상으로 확대했다. 그 결과 대전지역의 엑스포관광전세버스협동조합이 1순위 적격사업체로 선정됐다. 한수원이 출퇴근으로 필요한 전세버스는 24대이며, 계약금액은 연간 12억 3천629만 원이다. 한수원의 출퇴근 전세버스는 경주지역을 3개 권역으로 나눠 양북면 장항리 한수원 본사까지 출퇴근 시간대에 운행하는 것이다. 입찰에 성공한 대전지역 전세버스업체는 최근 경주에 영업소를 설치하고 지난 29일부터 본격적인 운행에 돌입 했다. 한수원은 입찰참가 자격으로 45인승 버스 24대 이상을 보유한 업체로 제한했다. 지역 특성상 많은 전세버스를 보유할 수 없는 경주지역 업체들은 한수원의 입찰자격에 맞추기 위해 5개사가 컨소시엄을 구성해 참가 했지만 탈락 했다. 지역 업체들은 “경주시와 상생 발전해 나가겠다고 기회 있을 때마다 외치던 한수원이 지역 업체를 완전히 외면하고 있다”며 “계약규정을 고치기 어렵다면 노선별 분리발주를 하거나 지역 업체에 가산점을 주는 방법 등도 있을 것인데, 전혀 고려치 않고 외면해 한수원이 외치는 상생발전은 헛구호에 지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이 같은 지역 업체의 반발을 한수원은 국가계약법상 2억1천만 원 미만일 경우 지역제한을 할 수 있지만 이번 계약 건은 지역제한 금액보다 무려 6배에 가까운 금액이라 지역제한이 불가능 했다는 입장이다. 지역 전세버스 업체들의 고민은 여기서 그치지 않고 있다. 전세버스 신규 사업자가 새롭게 경주에 진출한 만큼 지역 전세버스 업계의 경영난이 이중고에 빠질 것이란 우려를 내놓고 있다. 이 같은 지역 업체들의 우려는 이 업체가 한수원 직원 출퇴근에만 버스를 운행하지 않을 것이란 예측에서 비롯된다. 사업소가 경주에 설치된 만큼 출퇴근을 넘어 사업영역을 확장할 것이 뻔하기 때문이다. 지역 업체 관계자는 “한수원이 계약한 전세버스 연간 계약금액이 12억 3천629만 원으로 버스 1대당 5천만 원에 불과해 감가상각 등을 고려하면 엄청난 적자에 허덕이게 되면, 출퇴근 시간대를 제외한 시간에 영업을 나설 것이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평일 낮과 주말에 독자적인 영업을 나설 경우 경주지역 전세버스가 추가 공급되는 현상이 빚어져 지역 업체들은 이중고 경영난에 빠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경주지역에 등록된 전세버스는 300여대로 19개 업체가 평균 15대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영세성을 면치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수원 직원 출퇴근용 버스를 구실삼아 신규업체가 영업경쟁에 뛰어들 가능성에 지역 업체들의 고민은 이만저만이 아니다. 전세버스 업을 운영하고 있는 A씨는 “한수원과 경주시의 안일한 대처가 지역 전세버스 업계들의 무기력감만 가중 시키고 있다”면서 “출발부터 이렇게 지역민들은 외면하는 한수원이 과연 지역 기업으로 상생 발전할 수 있겠는지 의문이 든다”고 하소연했다. 한수원 측은 이번 출퇴근전세버스 선정은 관련규정에 따라 공정하고 투명하게 선정했기 때문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내놓고 있다.
|
|
권나형 기자 skgud244@naver.com - Copyrights ⓒ황성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
|
최신뉴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