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가장 흔한 알레르기 질환은 무 엇일까. 바로 알레르기 비염이다. 최근 몇 년간 시중에 가장 많이 나온 치료제 가 비염질환과 관련된 것들일 정도다. 특히 환절기에는 비염으로 고생하는 중 장년층이 적지 않다.
▶ 경도 인지장애와 비염의 연관관계
조중생 경희대병원 이비인후과 교수 연구팀은 지난해 노인 비염 환자를 대 상으로 경도인지장애(동일 연령대에 비 해 인지기능, 특히 기억력이 떨어져 있 는 상태)와 비염의 연관관계에 대해 측 정한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2014년 1월 1일부터 2014년 12월까지 1년간 비염 증세로 경희대병원에 내원 한 65세 이상 환자 44명(남성 16명, 여 성28명)을 알레르기 유무에 따라 두 그 룹으로 나눠 비교 연구를 진행했다. 연 구팀은 치매 검사와 함께 과거 병력, 약 물 복용력, 후각 기능 검사, 비점막 내시 경 검사를 진행했다. 이 중 치매검사를 통한 경도인지장애의 비율은 비염이 있 는 그룹에서 70%로 나타났고, 비염이 없는 그룹이 52%로 조사되면서 알레르 기 비염이 있는 군에서 경도인지장애 비율이 훨씬 높게 나타났다. 비염으로 인해 냄새를 잘 맡지 못하는 후각소실 (또는 후각감퇴)을 보이는 환자에게서 도 인지장애 비율이 매우 높게 관찰됐 다. 모든 후각소실 환자에게서 경도인지 장애가 나타났고, 일부 후각감퇴를 보이 는 환자는 절반이 넘는 59%가 경도인 지 장애를 앓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 비염 초기단계부터 적극적 치료 필요해
최근 들어 알레르기 비염을 치료하지 않고 오래 두면, 나이가 들어 치매에 걸 릴 확률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국내외 에서 꾸준히 발표되고 있다. 경희대병원 에 따르면 비염 증세가 악화돼 수술을 받은 60대 이상 고령층의 경우, 수술을 받은 뒤 건망증까지 호전됐다. 비염과 치매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는 아직도 진행 중이다. 조 교수는 “산소공급이 원 활하지 않으면 뇌 기능에 문제가 되고, 치매까지 유발되는 것으로 보여진다.” 고 말했다.
코와 기도 같은 호흡기에 알레르기 로 인한 염증이 생기면 뇌에도 염증이 생긴다는 것이다. 최근 스웨덴 연구팀이 호흡기 알레르기 유발물질을 실험용 쥐 에 코를 통해 주입했더니 알레르기 반 응을 보인 쥐의 경우 기도에서 염증이 생긴 것은 물론, 뇌의 광범위한 부위에 서도 염증이 나타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기억을 관장하는 해마와 두정엽에 서 치매를 일으키는 단백질이 늘어났다.
▶ 비염과 감기 구분법, 치매와 건망 증 차이
감기 때문에 생기는 비염과 달리 알 레르기 비염은 기침은 없고, 재채기와 콧물이 나오는 증상이 가볍게 나타나지 만, 오랫동안 반복되는 특징을 갖고 있 다. 문제는 증세가 해마다 반복되고 뇌 에 미치는 영향이 평생 누적된다는 점 이다. 따라서 증세가 가볍더라도 방치하 지 말고 적극적으로 치료하는 게 중요 하다. 만일 콧물·코막힘 증상이 ‘2주 이 상’지속된다면 ‘알레르기 비염’을 의심 해봐야 한다. 치매와 건망증도 확연히 다르다. 건망증은 노화로 인한 기억장애 를 뜻한다. 대게 저장된 정보를 다시 되 짚어보는 전두엽의 기능이 떨어져서 생 길 수 있다. 또 뇌에 저장할 일들이 너 무 많아서 현재 진행하는 일을 잠시 놓 칠 수도 있다. 반면 치매는 측두엽이 제 기능을 못해 정보 저장 단계에서 문제 가 발생하는 질병이다. 건망증과 치매는 증상으로 구분 가능하다. 노화에 따른 건망증은 대체 힌트를 얻으면 잊어버린 것을 기억한다.
하지만 노화로 인한 치매는 정보자체 가 뇌에 등록되지 않아서 조금 전 자신 이 한 일을 기억하지 못한다.
최근 들어 의학계에서 이슈가 되는 것 중 하나가 비타민 D 결핍이다. 워낙 사무직 노동자들이 많다 보니 야외활동 이 줄어든 것에서 생겨난 증상이다. 소 위 햇빛을 많이 받지 못해 생기는 비타 민 D 결핍은 인지 장애와 치매를 유발 할 수 있다. 따라서 너무 밀폐된 장소에 오래 있거나 사무직 업무가 과중하더라 도 되도록 하루에 30분 이상은 야외에 나가 햇빛을 받는 것이 비염 예방에 좋 고, 더불어 치매 예방에도 좋다는 사실 을 염두에 두는 것도 좋겠다.
이에 한국건강관리협회경북(대구북 부)지부 건강증진의원 허정욱 원장은 “가벼운 비염치료를 통해 큰 병을 예방 하고 노후에도 치매로부터 자유로운 생 활을 영위하여 초기단계부터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