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민들 귀머거리 만든 원자력환경公·경주시
울산 동쪽 해상에서 규모 5.0 지진발생
원자력환경공단, 경주시 지진정보 깜깜이
한수원은 지진발생 1시간 17분 후 지진정보 공개
권나형 기자 / skgud244@naver.com 입력 : 2016년 07월 11일(월) 17:17
|
경주시민들은 한수원과 한국원자력환경공단, 경주시의 무능에 지난 5일 밤을 불안에 떨어야 했다. 지난 5일 오후 8시 33분께 울산시 동구 동쪽 52Km 해상에서 규모 5.0의 지진이 발생했다. 또 한 시간 가까운 간격인 오후 9시 24분께도 울산 동구 동쪽 41Km 해상에서 규모 2.6의 여진이 발생했다. 이번 지진은 1978년 우리나라 지진관측 이후 5번째로 큰 지진이다. 지진 안전지대로 여기고 있던 우리나라는 이번 지진으로 8천여 건의 제보전화가 빗발 쳤다고 국민안전처가 밝혔다. 특히 지진 진앙지와 가장 가까운 경주는 건물이 흔들리고 가구가 요동칠 정도로 지진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다. 경주에는 6기의 월성원자력발전소가 운영 중에 있고, 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장이 운영 중에 있어 시민들은 더욱 불안에 떨어야 했다. 다행히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이날 지진으로 원자력발전소의 피해는 없었다고 밝히고 있지만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기억하고 있는 경주시민들의 불안감은 최고조에 달했다. 한수원은 지진이 발생하고 1시간 17분이 지난 오후 9시 50분께 “이번 지진이 원전의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밝혀 늑장대응 이라는 지적이 따르고 있다. 한수원의 늦은 발표로 인해 시민들의 불안감은 더욱 증폭됐다. 시민들은 한수원이 지진발생 후 시민의 안전에 대한 매뉴얼이 전혀 마련돼 있지 않다고 비판하고 있다. 대 지진으로 인해 방사능이 누출되고 쓰나미가 발생했다면 한수원의 늦은 발표로 시민들은 1시간 17분 동안 긴박한 상황을 감지하지 못하고 그대로 피해를 당할 수밖에 없었다고 입을 모았다. 더욱이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이사장 이종인)의 행태에 시민들은 더욱 분노하고 있다. 원자력환경공단은 방폐장의 안전에 대해 SNS나 스마트폰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정보도 공개하지 않아 시민들의 불안감을 더욱 고조 시켰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특히 공단은 언론사의 확인전화 까지도 회의라는 핑계로 받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행정기관도 지진으로 인한 시민들의 불안감을 키우는데 한몫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시민들의 안전과 행복권을 책임져야할 경주시도 지진에 대한 어떠한 반응도 내놓지 않았다. 이날 지진으로 시민들의 불안은 곳곳에서 감지됐다. 야간자습을 하던 시내 주요 고등학교는 학교 운동장으로 학생들을 대피시키고, 책상 밑으로 몸을 숨기는 등 초 긴장 상태의 불안한 시간을 보냈다. 또 아파트 주민들은 건물이 흔들리자 아파트 주차장에 삼삼오오 모여 불안감을 드러냈다. 시민 김모(45, 황성동)씨는 “원전과 방폐장이 있는 경주지역은 지진 등 자연재해에 대해 민감할 수밖에 없는데 한수원의 늑장대응이나 방폐장을 운영하고 있는 원자력환경공단의 무관심은 가뜩이나 불안한 경주 시민을 더욱 불안하게 만들고 있다”면서 “두 기관의 이번 대응을 보면 만약 이보다 더 큰 지진이나 쓰나미 등이 발생했을 때 시민들은 아무 것도 모르고 당할 수밖에 없다”고 분노했다. 그는 또 “경주시의 행태도 마찬가지”라며 “시민들의 안전을 책임져야 할 경주시도 지진에 대해 한마디도 없이 무 대응으로 일관했다”면서 “우리 시민들은 깜깜이 행정 속에서 목숨을 담보로 하루하루를 연명하고 있는 서글픈 실정”이라고 자학했다.
|
|
권나형 기자 skgud244@naver.com - Copyrights ⓒ황성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
|
최신뉴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