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는 최근 드라마에 단골 소재로 등장할 정도로 관심이 높다. 치매는 인 이 가진 여러 가지 인지 기능인 기억력, 주의력, 계산력, 언어기능, 시·공간 능력과 판단력을 포함한 전두엽 집행기능의 장애가 발생해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을 하는데 어려움을 초래하는 상 태를 말한다. 중앙치매센터에 따르면 2015년 말 기준 치매환자는 64만 8,223 명으로 65세 이상 인구의 9.8%를 차지하고 있다. 2024년이 되면 국내 치매환 자가 100만 명을 웃돌 것으로 전망된다.
▶ 50대 미만의 초로기 치매
50대 미만의 치매 진단 환자는 2011 년 2,229명, 2013년 2,351명, 2014년 2,190명 등으로 해마다 2,000명 이상이 치매 진단을 받고 있다. 초로기 치매는 20세기 초 알츠하이머라는 독일 의사가 51세의 한 젊은 부인이 기억력 장애, 지남력(指南力) 장애 5년 후 치매가 악화 돼 사망하자 그녀를 부검하면서 세상에 알려지게 됐다.
치매는 발병해서 말기까지 진행되는 데 보통 8~10년 걸린다. 그러나 초기에는 치매인지 알아차릴 수 없을 정도로 증상이 미미해 단순한 건망증으로 생각 해 병원을 찾는 경우가 드물다.
치매는 의학적으로 발병 원인에 따라 퇴행성 치매(알츠하이머·나이가 들면서 뇌세포나 신경망이 죽거나 약해져서 발 생), 혈관성 치매(뇌혈관이 터지거나 막 혀서 발생), 기타 치매(술, 약물중독, 비타민 부족, 종양, 내분비질환 등이 원인) 로 나뉘며 퇴행성 치매가 71%, 혈관성 치 매가 24%, 기타 치매가 5%를 차지한다.
▶ 20년 전 나쁜 습관의 결과물
치매는 어느 날 갑자기 아무 예고 없이 찾아오지 않는다. 무려 발병 20년 전 부터 치매의 징조를 보이기 시작한다. 예를 들어 75세에 치매가 왔다면 50대 중반부터 ‘치매의 싹’이 트고 있었다는 뜻이다.
일본 대뇌생리학 대가인 마쓰바라 에 이타 박사는 “치매는 20년에 걸쳐 서서 히 진행하며 처음 15년은 체감 증상이 전혀 없고 검사를 해도 이상소견을 발견하기 어렵다”며 “그러나 뇌에서 격렬 한 변화를 거듭한 증상들이 후반 5년 들 어 나타나기 시작한다”고 설명했다.
우리 뇌는 너무 혹사당하고 오래 긴 장하는 경우 오히려 교감신경을 흥분 시키거나 혈류를 떨어트려 베타-아밀로이드가 증가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뇌도 어느 정도 휴식이 필요하다 는 얘기다. 스트레스를 받아도 베타-아밀로이드 수치가 크게 늘어난다. 일반 적으로 뇌세포 수(약 1,000억 개)는 20 세 전후쯤 최정점에 달했다가 하루10만 개쯤 뇌신경 세포가 죽어간다고 알려져 있다. 전반적인 뇌기능은 30세를 기점으로 퇴화한다. 그러나 최근 들어 과학자들이 나이가 들며 뇌신경 세포가 줄어들어도 뇌를 쓸수록 어느 정도까지는 뇌세포 몸체가 커지고 신경 회로도 증가한다는 연구결과를 내놓고 있다.
▶ 운동, 금연, 절주, 균형 잡힌 식 사, 긍정적 사고
치매를 예방하려면 젊을 때부터 뇌를 가꾸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치매 경고 증상이 보이는 40~50대부터 생활습관 개선과 예방치료로 뇌를 건강하게 유지해야 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치매를 예방 하려면 규칙적인 운동, 독서 등을 통해 뇌를 적극 사용하고 음주, 흡연 등을 멀리해야 하고, 조기 발견을 위해 검진을 받는 것이 좋다”고 조언한다. 국내 치매 명의로 손꼽히는 한설희 건국대병원장 은 ▲생각을 젊게 하자 ▲각성하고 금 주·금연하자 ▲바른 자세로 활기차게 걷자 ▲꾸밈없는 뇌건강 식단을 준비하 자 ▲기분 좋게 이웃을 위해 봉사하자 등 5가지 항목의 첫 글자를 딴 ‘생·각· 바·꾸·기’를 제안한다. 고정관념을 버리고 사물을 새로운 관점에서 바라보는 습관을 키우고, 호기심을 갖고 뭔가 새로운 것을 배우는 것은 치매의 싹을 없애는데 가장 좋다.
나덕렬 삼성서울병원 교수는 ‘진·인· 사·대·천·명’을 실천하라고 조언한다. 이는 ▲진땀나게 운동하고 ▲인정사정없이 담배를 끊고 ▲사회활동과 긍정적 인 사고를 많이 하고 ▲대뇌활동을 적극적으로 하고 ▲천박하게 술을 마시지 말고 ▲명을 연장하는 올바른 식사를 하라 등의 첫 글자를 딴 것이다. 매일 운동을 하면 알츠하이머병이 생길 확률이 80% 낮아진다. 흡연을 시작해 25~30년 지나면 알츠하이머병 위험이 250% 증가한다. 사회활동을 하지 않고 혼자서 외롭게 지내는 사람은 치매에 걸릴 확률이 1.5배나 높다. TV 시청과 같이 수동적인 정신활동만 하면 인지장애에 걸 릴 확률이 10% 늘어난다. 과음이나 폭 음은 인지장애에 걸릴 위험성을 1.7배 나 높인다. 비만인 사람이 3년 후 치매 에 걸릴 확률은 정상 체중인 사람보다 1.8배 높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