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최종편집:2025-05-02 오후 04:30:28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독자기고
전체기사
뉴스 > 독자기고
한여름 무더위 속에서 그린 추사의 세한도
황성신문 기자 / 입력 : 2016년 11월 07일(월) 15:51
↑↑ 세한도(국보 제 180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우리의 역사상 수많은 예술인들이 있지만 추사 (秋史)만큼 그 이름이 인구에 회자되고, 전국에 걸쳐 그의 작품이 전해오는 예술가는 드물다. 세한도(歲寒圖)는 그의 대표작으로 제주에 유배 중이던 1844년 제자 우선 이상적(1803~1865)이 중국의 새로운 자료들을 보내주자 그에 대한 감사의 답례로 그려준 그림이다. 가로 69.2cm, 세로 23cm 크기의 이 작품 은 추사 그림의 격조와 품격을 가장 잘 보여주고 있다. 한 채의 집을 중심으로 좌우에 소나무와 잣나무 가 대칭을 이루고 있으며, 거칠고 메마른 붓질을 통하여 한 채의 집과 고목이 풍기는 스산한 분위기가 추운 겨울의 분위기를 맑고 청절하게 표현하고 있다.
ⓒ 황성신문
[세한도의 발문]
지 난 해 계 복 의 [만학집]과 운경의 [대운산방문고] 두 가지 책을 보내주더 니, 올해 또 하장령 의 [황조경세문편] 을 보내주었네. 이 책들은 모두 세상에 늘 있는 것이 아니라 서, 천만리 먼 곳에서 사오고 여러 해에 걸쳐 얻은 것으로서, 일시에 가능했던 일도 아니었을 것 일세. 더구나 세상 사람들은 온통 권세와 이익만 을 좇는데, 그대는 이 책들을 구하기 위해서 마 음을 쓰고 힘을 들여 구입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권세와 이익이 있는 곳에 주지 않고 바다 밖의 초췌하게 말라서 몰락한 사람에게 주기를 마치 세상 사람들이 권세와 이익을 좇듯이 하였네.
 태사공 사마천이 [사기]에 이르기를, ‘권세와 이익으로 합친 자들은 그 권세와 이익이 다하면 사귐이 시들해진다’고 하였네. 그대 또한 세상의 도도한 흐름 속에 있는 사람인데, 초연히 세상의 권세와 이익을 좇는 풍조 밖으로 스스로 벗어났으니, 그대가 나를 권세와 이익으로 대하지 않는 것인가, 아니면 태사공의 말이 잘못된 것인가?.
공자가 [논어]에 이르기를, ‘날씨가 추워진 뒤 에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늦게 시드는 것을 안다 (歲寒然後, 知松柏之後凋)고 하였네. 소나무와 잣나무는 사계절 내내 시들지 않는 것이라서, 날 씨가 추워지기 전에도 한 결 같이 푸른 소나무와 잣나무요, 날씨가 추워진 뒤에도 한 결 같이 푸 른 소나무와 잣나무이지만, 성인(聖人)은 특별히 날씨가 추워진 뒤에 이를 일컬었네.
지금 그대가 나를 대함에 있어서, 귀양 오기전 이라고 해서 더 잘한 것도 없지만, 귀양 온 뒤라고 해서 더 못한 것도 없네. 그러나 귀양 오기전의 그대는 특별히 일컬을 것이 없다 하더라도, 귀양 온 이후의 그대는 또한 성인으로 일컬음을 받을 만한 것이 아니겠는가? 성인이 특별히 일 컬었던 것은 단지 늦게 시드는 곧은 지조와 굳은 절개 때문만이 아니라, 또한 날씨가 추울 때  느끼는 바가 있었기 때문이었을 것일세.
아 아! 서한(西漢)의 순수하고 후덕했던 시절 에도 ‘급암’과 ‘정당시’ 같이 어진 사람들조차 빈 객들이 시세(時勢)에 따라서 많기도 하고 적기 도 하였네. 심지어 하규의 적공이 문 앞에 방(榜) 을 써 붙여(한번 죽었다 한번 살아남에 사귀는 정리를 알았고, 한번 가난했다 한번 부자 됨에 사귀는 세태를 보았으며, 한번 귀해졌다 한번 천 해짐에 사귀는 인정이 드러났다)던 것은 그 박절함이 극에 달했던 것이니, 실로 슬픈 일일세. 완당(阮堂) 노인이 쓰네.
[제자 이상적이 세한도를 받고 추사에게 보 낸 편지] 세한도 한 폭을 엎드려 읽으니 저도 모 르게 눈물이 쏟아집니다. 어찌 그다지도 과분한 칭찬을 해주셨는지 감개가 실로 절실합니다. 아! 제가 어떤 사람이기에 권세와 이익을 좇지 않고 도도한 세상 풍조 속에서 스스로 초연히 벗어났겠 습니까? 다만 변변치 못한 작은 정성으로 스스로 그만둘 수 없어서 그랬던 것일 뿐입니다. 더구나 이러한 종류의 책은, 비유하자면 문신(文身)을 새긴 야만인이 공자의 장보관(章甫冠)을 쓴 것과 같아서, 권세와 이익으로 불타는 세속과는 맞지 않는 것이 기 때문에 저절로 맑고 시원한 곳으로 돌아간 것일 뿐입니다. 어찌 다른 뜻이 있겠습니까?
이번 사행(使行) 길에 이 그림을 가지고 북경 에 들어가서 표구를 하여 한번 옛 지기(知己)들 에게 두루 보이고 제발과 시문을 청하려고 합니 다(이상적은 1844년 10월 26일에 冬至使의 譯官으로 중국에 들어가 1845년 1월에 북경에서 표 구한 뒤 청나라 文士 16명에게 세한도의 跋文과 詩文을 받아 돌아왔다). 그러나 오직 두려운 것 은 그림을 보는 사람들이 제가 진실로 세속을 초월 해서 초연히 세상의 권세와 이익 밖으로 벗어났다 고 여기지 않을까 하는 것입니다. 어찌 스스로 부끄 럽지 않겠습니까? 참으로 과분한 일입니다.(...)
오늘날에도 분명 추사(秋史)와 우선(藕船)처 럼 의리와 지조를 지키는 사람들이 많은 분야에 존재하고 있지만, 이제는 지성인의 전당이라고 하는 대학에서 조차 사제간의 인격적인 관계와 정을 나누는 아름다운 모습들이 점점 사라져 가 고 있다. 추사는 한 여름의 무더위 속에 그렇게 도 황량하고 차가운 세한도의 겨울 풍경을 그렸 을까? 아직도 세한도는 여전히 건재한데 그림에 담긴 뜻은 퇴색돼 버린지 오래인 것 같다.
스승을 그리며 제자가 보여준 한결같은 마음 에 감격하여 그린 한 폭의 세한도(歲寒圖)가 문 전작라(門前雀羅)한 지금의 사회에서도 격조 높 은 의리와 지조를 지킬 수 있는 세한도가 열 폭 백 폭으로 되살아나길 기대해 본다.
                                 문화유산 둘러보기 : (사)신라문화진흥원 부이사장 김호상
황성신문 기자  
- Copyrights ⓒ황성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이전 페이지로
실시간 많이본 뉴스  
신평동(薪坪洞)의 원주민은 보문저수지 조성과 보문관광단지 개..
경주 출신 아동문학가 최소혜, 처녀작 ‘초능력 탐정단’펴내..
‘보문천군지구 도시개발사업’ 건폐율·용적율 대폭 완화..
한수원, 2025 ESG경제대상 ʻESG 종합대상ʼ 수상..
보문관광단지 민간투자 자유로워 진다..
주낙영 시장, 공직기강 확립 ‘칼’빼들었다..
경주시 올해 총예산 2조 2천600억 원 편성..
하늘마루 봉안당 스마트 키오스크 설치..
내년 아태관광협회 연차총회 경주·포항 유치..
경주 동해안 불법어업 특별단속 실시..
최신뉴스
경주시가 사회적 지위와 역할이 변한 노인을 지원한다..  
주 시장 SMR 국가산단에 670개 기업 입주제안..  
주낙영, 주한 에밀리아가토 이탈리아 대사 접견..  
경주시, 종소세와 개인지방소득세 신고접수..  
경주지역 최고 비싼 땅은 평당 약 2천623만 원..  
보문단지 전역에 공공 Wi-Fi 등 대폭 확대..  
경주시민이 산불 이재민 돕기에 앞장섰다..  
정부 추경에 APEC 예산 135억 원 확보..  
APEC 앞두고 경주시 물정화 기술 세계 주목..  
외동읍 건초생산 사업장 완공···사료비 절감..  
5월 한 달간 불금예찬 야시장 개장된다..  
대한민국 국공립극단 페스티벌 경주서 개최..  
경주 샤인머스켓 세계 최고 품질 향상..  
경주 수산물과 식수, 방사능 안전하다..  
안강읍 산대리와 육통리 폐기물 해결됐다..  

인사말 윤리강령 윤리실천요강 편집규약 광고문의 제휴문의 개인정보취급방침 찾아오시는 길 청소년보호정책 구독신청 기사제보
상호: 황성신문 / 사업자등록번호: 505-81-77342/ 주소: 경상북도 경주시 용황로 9길 11-6 (4층) / 발행인: 최남억 / 편집인: 최남억
mail: tel2200@naver.com / Tel: 054-624-2200 / Fax : 054-624-0624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다01438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남억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