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10일 오후 3시 대구경북디자인센터에서 무인이동체 산업 메카 실현을 위한‘경북 특화 무인이동체 산업 육성전략 연구용역’최종보고회를 가졌다. 이번 연구용역은 지난해 5월부터 국내 유일의 공공 로봇연구 전문기관인‘한국로봇융합연구원(KIRO)’에서 수행 중이며, 공장 내 물류 자동화와 물류창고 자동화를 위한 무인이동체 개발, 무인이동체에 적용가능한 플랫폼․주행․조작 기술개발, 물류 무인이동체 실증시험 인프라 구축 방안 마련을 목표로 하고 있다. 무인이동체와 관련해 정부는 지난해 6월 27일 무인이동체 발전 5개년(2016~2020) 계획을 발표했고, 해외에서는 기술개발과 실증인프라 중심의 투자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다. 특히, 세계시장이 2025년까지 1,537억 달러 수준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공장 내 물류를 중심으로 한 산업용 무인이동체의 급속한성장이 예상되는 등 세계적으로 무인지게차, 모바일 플랫폼, 물류배송 무인이동체, 군집트럭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가능한 기술을 개발 중이다. 경북도는‘한국로봇융합연구원’을 중심으로 한 육상 무인이동체의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고, 국민안전로봇 인프라 등이 인접한 무인이동체 산업 육성을 위한 최적지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무인이동체 기술개발 및 산업육성을 통해 융합신사업 창출, 첨단기술 확보로 차세대 무인이동체 시장 선점이 가능하다. 2020년까지 세계 물류로봇시장 규모가 32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국내는 그 20% 정도인 6.4조원의 시장확보가 가능하며, 경북은 국내시장의 30% 규모인 2조원의 신시장 창출이 기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