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맞춤식 귀농 정책으로 귀농인구 유치해야한다
3040세대 고학력 귀농인 늘고 있다… 상담문의 늘어
경주시, 이사비용 지원 등 귀농인 종합지원 나서
권나형 기자 / skgud244@naver.com 입력 : 2017년 06월 19일(월) 16:24
|
|  | | ↑↑ 경주시, 도시민의 귀농 동기유발 및 안정적인 정착위해 종합지원 나서. | ⓒ 황성신문 | | 경주시가 귀농인을 위한 영농정착 종합지원에 나섰다. 최근 도시생활에서 벗어나 여유와 전원생활이 있는 농업현장으로 귀농하고자 하는 도시민들이 늘어남에 따라, 경주시로 귀농·귀촌하고자 하는 상담문의도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더욱이 귀농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매일 4~5명이 농업기술센터를 방문하고, 20여명의 전화민원이 들어오는 등 경주시로 귀농하고자하는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경주시는 도시민의 귀농 동기유발과 귀농농가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지난해부터 귀농인 이사비용을 100만원 한도로 지원하고 있으며, 매년 지원을 확대해나가고 있다. 특히 올해는 신규로 ‘귀농인의 집’을 운영해 예비 귀농인에게 집을 제공하고 일정기간 머물면서 귀농준비와 영농기술 숙지를 통해 농촌생활을 직접 체험함으로써 성공적인 정착을 돕는다. 이외에도 귀농정착을 위한 이사비용 등 영농정착 지원 사업, 선도농가 현장실습교육비 지원 및 경주농업대학에서의 교육을 지원하고 있으며, 영농정착자금 가구당 3억과 주택구입 자금 7천500만원 한도 내 귀농정책자금으로 융자지원을 하고 있다. 농림식품부에 따르면 최근 수년간 50대 귀농인구가 18.9%, 60대 이상은 9.8%를 기록한 반면 40대는 28.3%, 30대는 36.4%에 달한 것으로 나타나 고학력자나 전문직 종사자, 대기업 출신 귀농자들이 많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들은 IMF 이후 생계형 귀농과 2천 년 대 유행한 은퇴 귀농자의 전원생활 바람이 잠잠해진 반면, 3040세대 젊은 엘리트들의 귀농이 부쩍 늘었다. 특히 지난 4월 정부가 ‘귀농귀촌종합 대책’을 발표한 후 이런 경향이 두드러 지고 있다. 이들은 귀농준비 단계부터 정보를 공유하고, 지자체의 지원을 받아 귀농귀촌 생활에 더 쉽게 적응하고 있으며, 경주시도 인구증가를 목표로 적극적인 귀농지원 정책을 펴고 있다. 고학력 귀농자들은 다양한 생활패턴을 갖고 있기 때문에 농사도 짓지만 땅만 일구며 사는 것은 아니다. 지자체에서 귀농자들을 사회복지사나 촉탁교사, 마을 간사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고, 사회생활 경험이 풍부하니 부부가 서로 다른 일을 하는 새로운 형태의 맞벌이 귀농이 등장하고 있다. 경주시도 이러한 패턴에 맞는 ‘맞춤식 귀농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또 귀농자들은 연고보다는 실리를 추구하는 경향으로 나타나고 있다. 1세대 귀농자들이 주로 고향근처 마을을 정착지로 물색했다면, 요즘은 연고보다는 편의성과 실리를 우선으로 삼고 있다. 지자체의 귀농지원센터를 찾아 정보를 수집하고, 농사를 지으면서도 부가가치를 생산할 틈새시장도 찾는다. 이렇게 귀농세대와 패턴이 바뀌어가는 정보를 치밀히 수집해 그들의 입맛에 맞는 귀농정책을 펼칠 때 경주시는 성공한 귀농지로 각광을 받게 된다. 최양식 시장은 “귀농인이 실제로 정착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다양한 정보와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고, 매년 지원예산을 늘려 적극적인 귀농지원 정책을 펼쳐 나가겠다”고 말했다.
|
|
권나형 기자 skgud244@naver.com - Copyrights ⓒ황성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
|
최신뉴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