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연구원에 따르면 경주는 인구축소 도시다. 인구 축소도시는 1995년~2005년, 2005년~2015년 두 기간 연속으로 인구가 감소했거나, 두 기간 중 한기간만 인구가 줄었 으면서 최근 40년간 인구가 가장 많았던 ‘정점인구’에서 25% 이상 인구가 줄어든 도시를 말한다.
국토연구원은 인구 축소도시 주민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근거로 인구감소 원인으로 일자리 부족을 꼽았다. 한수원 본사 경주 이전으로 1천명이 넘는 인구가 유입 됐지만 인구감소 원인을 해결할 근본적인 대 은 되지 못했다. 인구 감소의 근본적인 해 결책은 양질의 신규 일자리 창출이다. 기업이 이전해 인구가 유입되는 것도 좋은 방법 이기는 하지만 그것 보다는 경주에서 창업을 하는 기업이 늘어나야만 새로운 일자리가 창 출된다.
경주시도 인구를 늘이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을 연구 중에 있는 것으로 안다. 그러나 인구는 갈수록 감소하고 있다. 정주인구 감소는 지역 여건으로 인해 그렇다 치더라도 9.12 지진 이후 수학여행 등 관광객까지 크게 감소하면서 경주경제는 바닥을 치고 있다.
이러한 바닥경제 해결책으로 경주에 신재생에너지융·복합타운을 유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문재인 정부의 탈핵 정책과도 절묘하게 맞아 떨어진다는 분석이다. 특히 문재인 대통령이 대선을 앞둔 지난 5월5일 포항 유세에서 “경주를 신재생에너지융·복합타운으로 육성하고 벤처기업과 원자력 관련 연구기관을 유치하겠다”고 공약했다.
대통령이 직접 나서서 경주를 신재생에너지융·복합타운으로 육성하고 벤처기업과 원자력 관련 연구기관을 유치하겠다고 약속한 것이다. 그러나 경주시는 대통령이 공약으로 발표한 신재생에너지융·복합타운 유치에 손을 놓고 있다. 민간단체가 결성돼 유치위원회를 만들고 경주신재생에너지타운 조기실천과 국립에너지기술대학 설립 시민촉구대회를 여는 등 대통령 공약을 이행하는 특별법 제정을 요구하며 동분서주하고 있지만, 정작 행정적 지원과 재정적 지원을 통해 유치에 팔을 걷어야할 경주시는 부정적 입장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시민들의 뜻과 역행한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민간이 주도하는 것은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제2원자력연구원과 원자력해체연구소 유치로 원자력클러스터를 꿈꾸는 경주시가 유독 신재생에너지복합타운 유치에 회의적인 이유가 무엇인지 알 수가 없다.
수억 원을 들여 일시적인 축제나 전시성, 선심성 행정은 앞 다퉈 펼치는 경주시가 경 주경제의 백년대계인 신재생에너지복합타운 유치에는 부정적 입장을 표명하고 있는 것이다.
청년일자리와 고급인력 유입, 국립에너지 기술대학 설립으로 학생들의 경주유입 등 양질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유추되는 이 사업을 외면하고 있는 것이다.
도대체 경주시는 무슨 생각을 가진 것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민간단체가 앞장서고, 관 이 민을 지원하고 할 때 좋은 결과가 나올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신재생에너지클러스터 구축은 문재인 정부 5개년 계획 100대 국정과제에도 명시돼 있다. 신재생에너지타운의 규모가 얼마나 될지는 가늠하기 어렵지만 원자력에너지 중심에 서있는 경주경제에 미칠 영향은 상상을 초월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관의 지원을 받지 못하면 대통령이 약속한 절호의 기회를 놓치게 될지도 모른다. 경주시는 지금부터라도 상세한 현황을 파악해 대통령이 주겠다는 신재생에너지클러스터 구축에 앞장서야 한다.
그래야 일자리 창출이 이뤄지고, 인구 축소도시 해제도 기대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