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황성신문 |
2011년 3월 일본 도호쿠 지방 앞바다에서 규모 9.0의 대지진이 발생했다. 이어 발생한 지진 해일로 발전소가 침수되어 전원 공급이 끊겨 냉각 시스템이 파손되면서 핵연료가 녹아내리며 수소폭발이 일어났고 다량의 방사성 물질이 외부로 누출됐다.
이 사고가 발생되기 전까지 원자력발전소는 지진에 안전하도록 설계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었지만 당시 TV에서 보여지는 후쿠시마 원전의 참혹한 모습은 우리 모두에게 엄청난 충격을 줬다.
후쿠시마 원전이 통제 불능의 상태로 빠져버린 원인은 무엇일까? 원자력발전소 설계시 지진과 같이 예상 가능한 사고는 고려 됐으나 지진 이후의 쓰나미와 같이 예상치 못한 자연재해는 심도 있게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이지 않을까
우리나라가 후쿠시마와 같은 방사능의 공포에서 벗어나기 위해 원전의 수를 줄인다고 하더라도 당장에 원자력을 이용한 전기 생산을 중단 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사고 이후에 전문가들은 현실에 적용 가능한 쓰나미 대비책을 검토해 찾았고 그 결과에 따라 현재도 몇 가지 설비와 제도 보완이 이뤄지고 있다.
설비보강 측면에서 쓰나미 발생 시 발전소의 중요 시설이 침수되지 않도록 해안방벽을 증축 하고 침수 방지용 방수문을 설치하는 등 시설과 설비 보강안이 마련됐다. 또한, 예상치 못한 침수로 전원공급이 불가능할 경우를 대비해 냉각수 외부 주입유로와 방수형 배수펌프, 이동형발전차 등이 구비됐으며 더 나아가 대체 전원공급 마저도 불가능한 경우를 가정해 핵연료 용융시 원자로 건물 내부에 발생 가능한 수소를 제거하고 과압을 방지하기 위해 무전원수소제거설비와 격납건물여과배기설비의 설치가 진행 중이다. 이런 설비들의 적절한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주기적인 시험 또한 수행하고 있다는 것은 후쿠시마와 같은 방사능 물질 유출을 원천적으로 막겠다는 의지로 볼 수 있다.
제도적인 측면에서는 우리가 예상한 모든 방벽이 무너져서 외부로 방사능이 유출될 경우가 고려되어있다. 원전 사고 발생에 대비한 시나리오에 따라 시뮬레이션을 수행해 그 결과를 비상 계획에 반영·운영 중에 있고 주민대피를 위한 방재계획과 위기관리매뉴얼이 수립되어 있다. 대피경로, 집결지, 구호소 등이 사전에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고 후쿠시마 사고 이후 강화된 방재 훈련을 단축된 훈련 주기로 대피훈련을 실시하고 결과에 따라 지속적으로 보완하고 있다.
위에 언급한 쓰나미에 대한 대비책이 완료된 다면 우리가 걱정하는 후쿠시마 사고와 같은 방사능 누출에 대한 공포는 줄어들지 않을까? 독자투고 : 울산시 중구 약사동 김진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