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민들은 가족관계에 대해 대체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인 가족관계에 대해 시민 63.7%가 만족한다고 응답했으며, 학교생활 만족도는 초, 중, 고, 대학 순으로 나타났다. 거주 지역 환경에 대해서는 대기, 녹지, 강․하천․호수 환경에는 호의적으로 평가한 반면, 토양과 소음진동에 대해서는 비교적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또 우리사회에서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분야는 식량, 화재, 교통이용 순으로 나타났으며, 불안한 분야로는 국가안보, 범죄위험, 신종전염병 등 순으로 평가됐다. 지역에서 가장 필요한 문화시설로는 문화체육센터가 가장 높고, 복지회관, 영화관 순으로 집계됐다. 이 같은 결과는 지난 8일 시민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복지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2016년 기준 경상북도 및 경주시 사회조사’결과를 통해 밝혀졌다. 사회조사는 1997년부터 주민생활영역을 10개 부문으로 나눠 매년 5개 부문에 대해 교차 조사하고 있다. 이는 각종 지역개발정책 및 복지시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8월말부터 경주지역 1천500가구를 대상으로 가구와 가족, 교육, 환경, 안전, 문화와 여가 총 5개 부문 35개 문항과 지역 특성항목으로 지역 명소, 문화관광서비스 수준, 경주 관광의 장점과 개선사항, 관광발전을 위한 중점 추진사업 등 5개 문항에 대해 진행됐다. 전반적인 가족관계에 대해 63.7%가 만족한다고 응답했다. 한편 특성항목으로 경주의 명소에 대해서는 불국사․석굴암이 36.4%로 가장 높고, 보문단지, 동궁원, 첨성대․대릉원, 동궁과월지, 남산유적, 교촌한옥마을, 양동마을 순으로 평가했으며, 관광지로서 개선사항은 볼거리와 즐길거리, 식당 및 음식, 불친절 순으로 지적했다. 관광발전을 위한 중점 추진사업으로는 역사 및 전통문화 등 관광자원활성화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상세한 내용은 경주시 홈페이지(정보공개/통계/사회조사결과보고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시 관계자는 “사회조사 결과에 나타난 시민의 생활상을 통해 시정운영과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한편, 미래 변화와 예측을 통해 시민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복지 향상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