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양식 시장의 불출마 번복으로 이제 본격적인 선거전이 펼쳐졌다. 출마예상자들은 후보 선출의 관문이 될 경선 준비를 위해 조직 구성과 인지도 높이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차기 경주시를 이끌어갈 경주 시장이 어느 누가 되던 가장 집중해야 할 현안은 ‘지역경제’다. 문제인 정부의 탈 원전 정책과 최저임금 인상 등으로 국가 경제가 얼어붙고 있는 상황에서 경주경제도 지진의 여파 등이 더해지면서 냉기류가 흐르고 있다.
월성원자력발전소 1호기 폐로가 기정사실화 되면서 지방세가 줄어들고,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해 물가가 상승되면서 시장경제가 마비되고 있다.
그야말로 경주경제가 직격탄을 맞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차기 경주시장은 그 어느 때보다 무거운 책임감과 불황을 타개하고 경주경제를 활성화 할 획기적인 묘책이 요구되고 있다. 국가 경제는 그렇다 치고 경주지역 내수경기를 살릴 수 있는 해법을 심층 연구 분석해야한다. 대통령이 국가 경제를 책임지고 있다면 지역 경제는 시장이 책임지는 것이다.
그만큼 시장이라는 직책은 책임감이 따르며 시장이 펼치는 정책에 따라 시민들의 행불행이 좌우된다. 경주시 1년 예산 1조 1천 억 원 대부분을 민생과 직결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투자해야 한다. 전시성 행정이나 인기성 사업에 투입되는 예산은 대폭 줄여야 한다.
축제나 행사도 마찬가지다. 타 지역 관광객을 유입 시키지 못하고 ‘꼬시래기 제살 뜯는’ 낭비성 행사나 축제는 전면 취소시키고, 그 돈을 내수경기 활성화에 써야 한다.
시장의 마인드에 따라 그 지역의 생사가 달려있다. 10원을 투자해 100원을 벌어들일 수 있는 묘안이 필요하다. 기본적인 행정은 부시장이나 간부들에게 일임하고 돈을 벌어들일 수 있는 정책 개발에 전념해야 한다. 각종 행사에나 다니며 폼만 잡는 시장은 이제 필요 없다.
행사용 시장이 아니라 시민들과 소통하고 전문가들과 머리를 맞대 경제 활성화에 올인 하는 시장이 돼야 한다. 경주시장에 출사표를 던진 출마예상자들은 하나 같이 일자리 창출과 정주인구 늘리기를 말하고 있다. 그러나 출산율 저하로 인구절벽 시대를 향해 가고 있는 가운데 인구 늘리기는 말처럼 그렇게 쉽지 않다. 정주인구 늘리기 정책은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접근해야 한다. 정주 인구는 교육과 의료, 일자리, 문화가 접목 돼야만 가능하기 때문이다. 한정된 인구라면 외부인들을 불러들이는 유동인구 늘리기 정책에도 주안점을 둬야한다.
역사문화와 스포츠 인프라가 완벽히 구축 된 경주시가 내적으로는 철저한 점검을 통해 관광객들을 소화할 서비스 인프라를 구축하고, 외적으로는 역사문화와 스포츠 인프라를 홍보해 스포츠 관광의 마케팅 전략을 펼 쳐야 한다. 경주는 9.12 지진이 일어나기 전 만 해도 연간 1천만 명의 관광객이 방문하는 대한민국 최고의 관광지다. 조상들이 물려준 천혜의 관광자원을 가지고도 자원 활용 미숙으로 그 가치를 십분 활용하지 못한다면 그것은 전적으로 시장의 무능이며 직무유기다. 민선 7기를 이끌어갈 차기 경주시장은 말로 만 경주발전을 외칠 것이 아니라 실제적인 아이디어와 추진력, 기획력이 있어야 한다. 그래야 변화된 경주시를 기대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