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경주 황남동 123-2번지유적 지진구(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건축물의 안점을 기원하기 위하여
매납하는 지진구 내에서 확인되는 내용물은 매우 드물지만 2006년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에서 실시한
발굴조사에서 특이하게도 금빛을 내는 도료로 알려진 황칠액(黃漆液)이 담겨진 진단구가 확인되어 진단
구 내용물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 ⓒ 황성신문 | | 고대사회에서 자연의 현상은 인간에게는 그야 말로 오묘한 대상이다. 해가 뜨고, 바람이 불고, 비가 오고, 계절이 바뀌는 모든 것이 신비로운 것이다. 그러나 일식과 월식이 일 어나고, 해일과 지진, 황사와 천둥벼락 같은 자연의 현상과 재해들이 일어날 때에는 자연은 신비로운 대상이 아니라 두려운 공포의 대상 그 자체였다. 과학이 발달하지 못하였던 시대에 우리선조들은 자연의 변화에 순응하고자 산천(山川)에 제사를 지내거나 무속(巫俗) 등 각기 나름의 안전에 대한 기원을 거행하였다.
자연현상에 관한 역사기록을 보면 크게 바다와 땅 그리고 하늘에서 일어나는 천문현상들을 매우 중요하게 기록하고 있다. 이 가운데 땅에서 일어나는 자연재해에 대한 대비책으로는 삼국시대부터 토착신앙과 도교의 지신(地神)이라는 개위에 불교적인 의례가 수용되기 시작하면서 건축물을 세울 때에는 안전을 위해 제사와 주술 적인 방법을 행하였다.
그 하나의 예로 신축되는 건물의 주변이나 내 부에 건물이 붕괴하거나 화재 등과 같은 여러 재앙으로부터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는 기원의 뜻으로 상징물을 담은 용기(容器)를 직접 땅에 묻는데, 이러한 물품을 지진구(地鎭具) 또는 진단 구(鎭壇具)라 한다.
현재까지 경주지역에서 출토된 지진구의 대 부분은 뚜껑이 있는 항아리 또는 그릇형태의 토 기류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지만 자기류나 금속류도 다수 출토되고 있다. 이들 지진구의 용기 내에는 무엇인가 지신(地神)에게 받치는 상징성을 띤 내용물을 담아 땅에 묻었을 것이지만, 지진구 내부에서는 아무것도 확인되지 않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간혹 지진구 내용물로 유리구슬, 동물뼈, 손칼 등이 확인되기도 한다.
경주지역에서 발견된 통일신라시대의 지진구 로는 황룡사지, 구황동 원지, 전 인용사지, 신라 왕경 유적 등 주요 절터나 건물지 등에서 흔하게 발견되고 있다. 이중 2006년 국립경주문화재연 구소에서 발굴조사한 황남동유적에서는 5개의 큰항아리를 지진구로 갖춘 유구가 노출되었고, 그 속에서는 금빛을 내는 도료로 알려진 황칠액 (黃漆液)이 담긴 도장무늬가 찍힌 뚜껑 있는 그릇이 함께 출토되기도 하였다.
황칠액을 채취하는 황칠나무는 우리나라 남해 안 일부와 서해안 일부지역에서만 자생하는 한 국고유의 특산종으로, 옻나무처럼 도료로 이용 되는데 수액의 색깔이 노란색이어서 ‘금칠’ 또는 ‘황칠’이라고 하여 황실이나 궁궐 이외에는 사용 할 수 없을 정도로 진귀한 물품이었다.
우리나라의 황칠에 대한 중국 측의 기록에 ‘백제의 서남쪽 바다 세 군데 섬에서 황칠이 나는데 수액을 6월에 채취하여 그릇과 기물(器物)에 칠 하면 황금처럼 빛이 난다.’고 하여 백제로부터 공납으로 황칠 5되 3홉을 거두었다는 기록이 전하 고 있다.
통일신라시대 해상의 왕이라 불리었던 장보고의 교역상품 중 최상품이 황칠액 이었다고도 한다. 병자호란 이후 청나라에서는 조선임금에게 황칠사용을 금지한 뒤, 황칠 생산지인 전남 해안 에 대한 감시와 수탈을 강화하였다. 또한 정약용이 지은 [목민심서]에는 ‘수탈을 못 견딘 백성들이 나무에 구멍을 뚫어 나무를 고사시키거나 도끼로 찍어버렸다.’ 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처럼 귀중한 물품을 건물지의 안전을 위하 여 묻는 용기에 담아 지신(地神)에게 받친다는 것은 당시 신라인들에게 진단구는 건축물과 사람의 안전을 자연재해로부터 지키려는 염원이 얼마나 큰 것이었는지를 짐작해 볼 수 있게 하는 유물이다. 경주와 포항지역에서 일어난 지진으로 인하여 정신적, 물질적 피해를 입은 분들의 빠른 회복을 기원해 본다.
(사)신라문화진흥원 부이사장 김호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