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황성신문 | | 경주시가 전통문화 계승과 발전을 위해 ‘경주 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을 건립한다. 현재 경주 지역에는 교동법주(최경), 누비장(김해자), 전통장(김동학), 명주짜기(두산손명주연구회) 등 4건의 국가지정 무형문화재와 가야금병창(주영희), 가곡(박기자), 판소리 흥보가(정순임), 경주먹장(유병조), 경주와장(정문길) 등 5건의 도 지정 무형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다. 이렇게 국가지정과 도 지정 문형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는 경주시는 그동안 무형문화재 전용 교육장과 공연장이 없어 우수한 무형 유산의 전승 보급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이에 따라 경주시는 2015년 판소리 전수교육관 내 부지 선정, 2016년 문화재청 무형문화재전수관 건립사업 확정 및 공유재산심의 승인을 거쳐 지난해 도 투자심사위원회 의결, 문화재 정밀 발굴조사 등 사전 행정절차를 마무리하고 지난 4일 공사에 들어갔다. 경주시 서부동 93번지 일원(서경사 옆 부지)에 들어서는 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은 1,901㎡의 부지에 연면적 794㎡, 지하 1층, 지상 2층 규모의 한옥 형 건물로 국비 13억5천만 원을 포함 사업비 27억 원이 투입된다. 전수교육관에는 자체 전수관을 갖추지 못한 국가무형문화재 전통장(김동학)과 도 무형문화재 판소리 흥보가(정순임), 가곡(박기자), 가야금병창(주영희) 등 4명의 무형문화재 보유자가 입주할 예정이다. 건물 내부에는 공동 사무실과 전수실, 공연장, 연습실 등이 들어서며, 올 연말까지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편 그동안 판소리 전수관으로 활용된 서경사 건물은 리모델링을 통해 공연 및 전시 공간 등으로 활용할 계획 이다. 시 관계자는 “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 건립으로 후진 양성과 전통문화 저변 확대를 도모하고 무형 유산의 관광콘텐츠화를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