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황성신문 | 고유 명절인 설을 쇤 지도 제법 되었고 대보름도 지나갔다. 예전 같으면 아직도 정월달이니까 세배를 놓친 사람들은 어르신을 찾아 뵙기도 하고 설의 기분을 유지하고 있다. 이월 초하룻날까지는 마을마다 각종 놀이가 행해지고 봄 농사철이 오기 전에 기운을 축적하며 실컷 즐겼다. 그러나 시대의 변화로 이러한 모습은 찾아볼 수가 없게 되어 아쉬움을 남긴다.
설날을 비롯하여 각 세시명절에 행해지는 세시풍속은 대체로 소망을 기원하는 의례적인 성격을 지닌다. 기원의 대상은 신(神)과 같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경우도 있지만 무언가 ‘초월한 힘’이 되기도 한다.
명절을 전후하여 행해지는 세시풍속은 정월, 설명절 기간에 집중되어 있다. 이 기간에 세시풍속이 집중되어 있는 까닭은 정월이 농한기인데다 한 해가 시작되는 신성한 기간이기 때문이다.
설날 아침에는 어른에게 세배를 하고 나서 조상에게 차례를 지낸다. 차례는 종손이 중심이 되어 지내는데 4대조까지 모시고 5대조 이상은 시제 때 산소에서 모신다. 차례를 마치고 가까운 집안끼리 모여 성묘를 한다.
예전에는 정초에 집안의 평안을 위해 안택을 하기도 한다. 안택은 무당과 같은 전문적인 사제를 불러 규모가 큰 굿을 한다. 굿이 끝나면 짚으로 ‘제웅’을 만들어 뱃속에 액운이 든 사람의 생년월일시를 적은 종이와 돈을 넣어 삼거리나 사거리에 버린다. 액운을 멀리 보낸다는 의미가 있다.
설을 전후하여 세시풍속이 다양한 만큼 속설 역시 다양하게 나타난다. 설은 사실상 섣달 그믐부터 시작된다고 할 만큼 그믐날밤과 초하루는 직결되어 있다. 끝과 시작은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섣달 그믐날 밤에는 잠을 자지 않는다. 잠을 자면 눈썹이 센다는 속설이 있기 때문이다.
요즘도 해안지역에서는 정초에 무당을 불러 풍어제를 크게 지낸다. 한 해 동안 무사하고 고기잡이가 잘 되기를 기원하는 굿이다. 농촌마을에서는 정월 대보름 무렵에 마을에서 노거수 동목에 동제를 지낸다.
정초에 여자들은 널을 뛴다. 널을 뛰면 그 해에 다리가 아프지 않는다고 한다. 설의 놀이로 연날리기는 섣달 그믐 무렵부터 시작하여 대보름까지 즐긴다. 보름날의 연은 액연(厄鳶)이라 하여 멀리 날려보낸다. 윷놀이는 남녀노소 구별 없이 모든 사람이 집안에서도 하고 밖에서 마을 사람들이 어울려 하는 정초의 가장 보편적인 놀이다.
조리 장수는 복조리를 팔기 위하여 섣달 그믐날 밤에 “복조리 사시오, 복조리요.” 하고 외치면서 밤새도록 골목을 돌아다닌다. 복조리는 쌀을 이는 기구인데 그 해의 행복을 쌀알과 같이 조리로 일어 취한다는 믿음에서 생겨난 풍속으로 보인다. 설날에 조리를 1년 동안 사용할 수량만큼 사서 방 한쪽 구석이나 대청 한 귀퉁이에 걸어놓고 하나씩 사용하면 1년 동안 복이 많이 들어온다는 민간신앙도 있다.
정월 열나흗날 저녁에 잘 사는 집의 부엌의 흙을 훔쳐다가 자기 집 부뚜막에 바르면 부자가 된다고 하였다. 대보름날 아침에 부럼을 깨면 부스럼이 나지 않고 귀밝이술을 마시면 일년 내내 좋은 소식을 듣는다. 또 더위를 팔면 그 해 여름에 더위를 피할 수 있다는 속신도 있다. 오곡밥은 세 집 이상의 타성받이 집의 밥을 먹어야 그 해 운수가 좋다고 한다. 필자도 짚으로 그릇을 만들어서 남의 집에 밥을 얻으러 다녀본 적이 있으며, 달이 뜰무렵에 방앗간에서 또래의 친구와 같이 나눠 먹은 기억이 있다.
설의 음식으로써는 떡국인데 흰 가래떡을 길게 뽑는 이유는 장수와 집안의 번창을 의미하고, 가래떡을 둥글게 써는 이유는 옛날 화폐인 엽전의 모양과 같도록 해 운세와 재복이 한해 동안 계속 되기를 기원하는 소망이 담겨 있다.
대보름날 아침에 부럼을 깨고 청주 한잔을 마신다. 이 술을 ‘귀밝이술’이라고 한다. 귀밝이술을 마시면 귀가 밝아지고 한 해 동안 좋은 소식을 듣는다고 한다.
달집 태우기는 정월 대보름 무렵에 생솔가지나 나뭇더미를 쌓아 ‘달집’을 짓고 달이 떠오르면 불을 놓아 제액초복(除厄招福)을 기원하는 풍속이다.
달집의 재료는 솔가지가 보편적이고 이를 보조하는 화목으로 짚이나 생죽(生竹) 등이 사용된다. 달집 속에 생대나무를 넣는 것이 일반적인데, 대나무 마디가 터지는 소리를 듣고 악귀가 놀라서 달아난다는 주술적인 사고가 깔려 있다.
특히 대보름놀이로 불과 관련된 횃불싸움과 쥐불놀이가 있다. 대보름 놀이는 불놀이 뿐 아니라 다른 놀이들도 풍요를 상징하는 것으로 기원·예축하는 의미가 있다.
정월의 마지막인 이월 초하루는 ‘영등’이라고 부르며 가정과 마을에서 모시는 바람신[風神] 즉 영등할매를 위한 제사가 있다. 가장 기본적인 형태는 정화수만 올리고 기원하는 것이지만 밥이나 떡, 과일, 나물 등을 올리기도 한다.
영등날 새벽 닭이 울기 전에 영등신에게 올릴 우물물을 남보다 먼저 길어 오는 ‘영등물뜨기’ 풍속이 성행했다. 닭이 울기 전 시간은 성(聖)의 세계에 속하고 닭이 울고 난 뒤에는 속(俗)의 세계가 시작된다고 보기 때문이다. 영등신앙은 한반도의 기후 환경 중 특히 바람과 기상에 대한 적응 과정에서 정착된 생태민속의 전형적인 사례이다.
우리나라는 세시절기마다 풍속과 놀이문화가 있었다. 특히 정월을 중심으로 한 아름다운 많은 풍속들이 사라져 감이 안타깝게 생각된다.
신경주지역개발(주)대표이사 최재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