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황성신문 | | 경주시는 올해 경주지역 벼 재배면적 1만㏊에 대해 무인항공방제를 실시할 계획이라고 지난 6일 밝혔다. 이는 친환경재배지역, 양봉·축산 지역, 송전탑 인근, 방제장비가 진입할 수 없는 험로 등을 제외할 경우 실질적으로 전 면적에 해당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기준 경주시의 벼 재배면적은 1만1천927㏊로 도내 1위, 전국 1.6%의 재배면적을 기록하고 있다. 이번 방제는 총사업비 18억 원으로 시비 50%, 농협 50%로 추진되며 무인헬기, 드론 등의 방제장비 임차료는 시비로 지원되고 방제약제를 비롯한 방제재료는 농협이 부담한다. 최근 불안정한 기상으로 병해충이 예측하기 어려운 시기에 발생하고, 벼 병해충에 대해 예방주사 역할을 하는 육묘상자처리제 사용에도 불구하고 병해충 발생밀도가 높을 경우 약효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벼 생육 중후기인 7~8월 추가 방제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경주시에는 최근 3년간 다양한 병해충이 발생했는데, 2017년 6월께외동읍, 안강읍 옥수수, 벼 등의 작물 50㏊에 멸강나방이 발생해 긴급방제를 실시했으며, 2018년 7월에는 양남면 신서리 등 논 150㏊에 벼 먹노린재가 다발생해 무인항공방제를 실시했다. 특히, 지난해 9월 초에는 외동읍과 현곡면 등 500㏊에 이르는 면적에 벼 흰잎마름병이 갑자기 발생해 급격히 확산됐지만 추석연휴 기간까지 긴급방제를 실시해 피해를 최소화시켰다. 벼 공동방제는 경주시에서 보급한 무인항공방제장비 중에서 무인헬기 4대, 드론 20대를 주축으로 부족분은 타 지역과 연합방제단을 구성할 것으로 전망되며, 가용 가능한 지역 내 장비, 인력 등을 적극 활용하기 때문에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도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벼 병해충 항공방제현황은 지난해 기준 전국 재배면적의 28%, 경북 면적의 27%로 파악되는데, 이중 대부분이 벼 재배 농업인 자부담을 포함한 농협자체사업으로 추진됐으며 시군 방제사업으로는 일부분에 지나지 않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