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황성신문 | | 자외선 차단제를 열심히 바르는데도 얼굴에 거뭇거뭇 반점이 올라온다. 나이 탓이려니 넘겨야 할까? 아니면 병원에 가든가 무슨 조치를 취해야 할까? 눈가에 홍반이 하나 생겼다고 수선을 떨 필요는 없다. 차분하게 시간을 두고 관찰할 것. 이주에서 한 달 정도, 찬찬히 보다가 혹시 색이나 크기에 변화가 생기거든 그때 의사에게 보이면 된다. 주근깨나 기미는 심미적인 면에서는 신경이 쓰일 수 있지만 건강상으로는 문제가 없다. 단 ‘커다란 놈’이 나타나면 주의해야 한다. 주근깨나 기미는 밤하늘의 별 같은 것으로 작은 별들은 괜찮지만 갑자기 큰 별이 나타나거나 또는 작은 별이 점점 커진다면 검사를 받아보는 게 좋다. 얼굴 외에도 햇볕이 직접 닿는 어깨나 팔, 목에 나타나는 큰 점에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피부암 중에도 제일 심각하고 치명적인 흑색종의 전조일 수 있기 때문이다. 원래 있던 점에 변화가 생기는 경우도 위험하다. 흑색종이라면 점의 크기와 모양, 색깔이 달라진다. 또 어떤 특징이 있을까? ◆ 균형 점은 보통 원 모양. 대칭을 이루는 것이 정상이다. 다시 말해 점을 반으로 갈랐을 때 한쪽 모양이 다른 한쪽과 다르다면 문제가 있는 것이다. ◆ 테두리 점의 둘레가 우툴두툴하거나 경계가 불분명한 것도 좋지 않은 징조다. ◆ 색깔 붉은색, 갈색, 푸른색, 검은색, 심지어 하얀색이 보인다. 음영도 고르지 않다. ◆ 크기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지만, 문제가 있는 점은 대개 지름이 6밀리미터를 넘는다. 적어도 두 달에 한 번, 전신 거울 앞에 서서 몸에 있는 점들을 꼼꼼히 살피라. 정면은 물론 등과 궁둥이도 볼 것. 팔을 들어 몸의 왼쪽, 오른쪽 면을 확인한 다음 손거울을 이용해 목과 두피 쪽을 체크한다. 겨드랑이, 팔꿈치, 손바닥, 그리고 다리오금은 물론 발과 발가락 사이도 잊지 말아야 한다. 이상한 점이 보인다면 바로 병원에 갈 것. 그렇지 않더라도 가족 중에 흑색종을 앓은 이가 있거나 반점이 40개 이상이라면, 또는 햇볕 화상을 입은 적이 여러 번이라면 피부과 전문의에게 보이는 게 바람직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