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경제 활성화 차원으로 조기발주 한 수의계약(2천만 원 이하) 건설공사를 지역 업체가 아닌 특정업체와 집중 계약한 것이 본보 취재결과 드러나 유착 의혹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철저한 진상조사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대다수의 읍면동 지역은 그 지역 업체 우선으로 골고루 발주한 반면 외동읍은 지역 업체 발주가 거의 전멸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어 특정업체와 유착의혹까지 제기되고 있다. 본보는 경주시 읍면동 지역 공사 수의계약 과정에서 특정업체 몰아주기 등 편파 발주한다는 제보가 있어 몇 개 읍면을 대상으로 수의계약 내역서를 확보했다. 확인결과 외동읍은 지난 1월부터 3월 30일까지 총 77건에 8억3천637만1천300원의 공사를 조기 발주했는데 경주시내 본사를 둔 B건설에 8건 9천183만3천원, G사 4건 6천407만원, H토건 4건 4천989만원, M건설에 4건 3천522만원, S조경 3건 3천141만 원, Y건설 등에 수의계약 공사를 발주 했다. 그러나 M건설을 제외한 업체들은 외동지역 업체가 아닌 타 지역 업체로 확인됐으며 이들은 3월 한 달 간 집중적으로 수의계약이 이뤄진 것으로 밝혀졌다.
몰아주기 식 공사는 3월 한 달 간 6개 업체에 집중적으로 수의계약이 이뤄졌는데 외동읍 3월 수의계약 68건 7억9천494만5천300원 중 37.1%인 26건 2억9천509만3천원의 공사가 6개 업체에 몰아주기로 계약이 된 것으로 밝혀졌다.
본보 취재결과 외동읍에는 33개의 전문건설이 본사를 두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으나 이번 조기발주에는 10개 업체(전기공사 포함)만 계약했으며, 나머지 23개 업체는 완전 배제된 것으로 확인돼 유착의혹이 짙게 배여난다. 이는 지역 발주공사의 경우 지역 업체를 우선 배려한다는 것을 무시한 것으로 특정업체와 유착이 이뤄져 공사를 몰아주기 한 것이라는 의심이 들고 있다. 외동읍은 3월 한 달 간 총 68건의 공사를 수의계약 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이 가운데 48건의 공사가 외지업체와 수의계약 한 것으로 알려져 충격을 주고 있다.
외동읍은 지역 업체를 우선 배려하는 지역경제는 뒷전이고 인맥이나 유착 등으로 수의계약 했다는 비난을 면키 어려워 보인다.
외동읍에서 전문건설 회사를 경영하는 A씨는 “단 한건의 수의계약도 발주 받지 못했다”며 “외동읍이 읍장이나 담당자의 인맥에 따라 공사를 발주한 것이라는 의혹을 떨쳐버릴 수가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덧붙여 “경주시나 수사기관이 나서서 타 지역 업체와 유착관계나 뒷거래가 있는지 조사해야 하며, 조사를 통해 부당성이 발견된다면 강력 처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반해 서면사무소의 경우 올해 3월 2일부터 4월 16일까지 총 35건에 4억5천422만5천580원의 공사를 조기 발주했는데 지역 업체에 골고루 수의계약을 함으로써 외동읍과 극명한 대조를 보이고 있다.
한편 본보는 지난 19일 수의계약을 살펴보기 위해 외동읍을 방문해 공사현황과 해당 업체의 명단을 요구했지만 읍장과 부읍장은 개인정보보호를 이유로 정보제공을 거부했다.
본보는 본청에 의뢰해 ‘공공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법률’을 입수해 살펴 본 결과 본지가 외동읍에 의뢰한 정보 요청을 외동읍이 거부할 어떠한 법적 근거도 없었다.
이는 공개할 수 있는 자료를 숨기기에 급급한 외동읍 측이 수의계약과 관련해 뒤가 구리다는 합리적인 의심을 갖게 하기에 충분한 것으로, 외동읍의 발주공사 수의계약과 관련해 감사기관 등 관계기관의 철저한 조사가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