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주시 자원회수시설 가동 ‘정상화’
경주시 적극적 행정 쓰레기 대란 막았다
시설 고장 등 문제점 산적…대책 마련해야
황성신문 기자 / 입력 : 2022년 02월 25일(금) 16:31
|
|  | | ↑↑ 파업으로 장기간 가동중지 됐던 경주시 자원회수시설(소각장)이 지난 22일 정상화되면서 가동에 들어갔다. | ⓒ 황성신문 | | 지난해 10월 14일부터 파업으로 장기간 가동중지 됐던 경주시 자원회수시설(소각장)이 지난 22일 정상화되면서 우려했던 쓰레기 대란이 일단락됐다. 소각장 운영업체인 서희건설 출자회사인 경주환경에너지는 지난 2021년 10월 14일 소각장 가동을 중지했다. 경주환경에너지는 서희건설이 51%의 지분으로, 지배회사의 지위로 소각장 운영에 있어 재무와 인사 및 노무 관련 업무를 서희건설 본사가 직접 맡아 수행하고 있다. 파업의 주원인으로 서희건설 측이 소각장 운영에 적극적인 자금 보충이나 시설개선, 노무 정상화 노력 등의 경영 개선 의지를 보이지 않아 발생됐다는 것이다. 결국 서희건설의 소극적인 소각장 운영자금투입이 소각시설의 잦은 고장과 가동률 하락으로 이어지면서 적자가 눈덩이처럼 커졌다는 것이다. 특히 2015년, 2016년, 2018년을 제외하고 매년 적자를 면치 못해 2013년 이후 누적 적자액만 49억여원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1일 160t의 생활쓰레기를 소각하던 소각장 파업으로 인해 가동이 중단돼 경주시의 생활쓰레기 130t이 매일 수거되면서 설계용량 150만㎥(약 200만t)의 매립장이 포화상태에 이르러 쓰레기 대란이 예고됐었다. 하지만 경주시는 자원화 시설의 경우 2028년까지 위탁계약 기간이 남아있고, 노사 문제로 시가 개입할 수 있는 부분이 제한적이라는 이유로 개입을 자제했다. 하지만 가동 중단이 장기화 되면서 위기를 느낀 경주시가 적극 중재에 나서면서 지난 9일 극적으로 노사 단체교섭을 이끌어 냈으며 다음 날 소각로 점검 및 임시가동을 거쳐 지난 22일부터 정상화에 들어갔다. 소각장은 생활쓰레기를 안정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서희건설이 2013년 준공했다. 수익형 민간투자사업(BTO) 방식으로 지어진 이 시설은 건설사가 경주시에 소유권을 기부채납하고, 15년간 투자금을 회수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1t당 소각비용이 13만여원 가량이며 1년에 약 315일 주·야간 풀 가동되면서 연 60억여원의 처리비용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소각장 정상화에는 경주시의 적극적인 개입이 성과를 이뤄냈다는 평가다. 경주시 자원순환과는 소각로 장기간 가동중지에 대해 정상 가동 당시 발생하는 문제해결에 총력을 기울이는 한편, 적극 개입하면서 배수의 진을 치고 시가 책임질 것은 책임지고 운영사가 책임질 것은 그 책임을 엄중히 묻겠다고 압박한 것이 정상화 성과로 이어진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경주시는 추후에도 이 같은 사태의 재발 방지를 위해 운영업체의 소각장 비정상 가동 시 그 책임을 엄중히 묻는 등 강력 대처할 방침이다.
|
|
황성신문 기자 - Copyrights ⓒ황성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
|
최신뉴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