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최종편집:2025-08-14 오후 03:39:50 회원가입기사쓰기전체기사보기
독자기고
전체기사
뉴스 > 독자기고
신라인(新羅人)들에게 낭산(狼山)은 어떤 의미였을까?
황성신문 기자 / 입력 : 2023년 05월 12일(금) 13:11

↑↑ 가장존 공인중개사 사무소 대표 행정학박사 윤 해 수
ⓒ 황성신문
낭산(狼山)은 경주시 배반동과 구황동, 보문동의 3동네를 경계로 하며 누에가 길게 기어가는 모양을 하고 있는 산으로 남산(南山)을 잘못 표기하여 생긴 이름이라는 사람들도 있다. 낭산(狼山)의 남쪽과 서쪽은 배반동인데, 본래는 양성하다는 뜻의 북을 돋울 배()자를 쓴 배반(培盤)이었는데 1914년 일제강점기에 행정구역 개편으로 밀칠 배()자를 써서 배반(排盤)으로 표기하다가 1995년 본래의 이름인 배반(培盤)으로 환원되었다. 배반동의 남쪽 산과 서쪽 산, 보문동의 서편 산 정상(頂上)으로 해발 100m에 이르는 이리가 엎드려 있는 형상(形狀)이라고 해서 이리 낭()자의 낭산(狼山)이라 했다고 하나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에는 동쪽의 큰 별을 랑()이라 한다고 하여 왕궁, 즉 월성의 동쪽에 있는 산이라서 낭산(狼山)이라 했다고도 한다.

413(실성왕 12) 8월 어느 날 낭산(狼山)에서 갑자기 뭉게구름이 피어났다. 형상이 누각(樓閣)처럼 보였고 향기로운 내음새가 온누리에 풍겼다. 그것을 본 실성왕이 지금 신선(神仙)이 하늘에서 내려와서 놀고 있으므로 복() 받은 땅이라고 하면서 낭산(狼山)에서 나무 한 그루, 풀 한 포기를 훼손(毁損)하는 것도 금지(禁止)하였으므로 오늘날 국립공원이나 그린벨트(greenbelt), 즉 개발제한지역(開發制限區域) 지정의 원조(元祖)가 된 셈이다. 그 훗날 7세기 말에 고승인 명랑법사가 신()들이 노니는 숲이라 이름하여 신유림(神遊林)이라 불렀다.

또한 삼국사기(三國史記)에는 신라에서 가장 큰 제사인 대사(大祀)를 지내는 3(三山)이 있었는데 이 3산 가운데 왕경에 속한 유일한나력낭산(狼山)’이라고 했다고 하는데 아마도 기근(飢饉)이나 질병에서 나날의 삶들이 힘들었던 신라의 민초(民草)들이 찾아와 안식(安息)을 찾고 치유하려 했던 곳이 낭산(狼山)이 아니었을까? 생각해 본다.

지금도 경주시 보문동 987번지(경주시 하강선길 43-32) 일대를 선녀(仙女)들이 하강(下降)했다는 하강선(下降仙)마을 또는 하강시이마을이라고 하며 경주시 보문동 953번지(경주시 상강선길48-4) 일대를 선녀(仙女)들이 놀다가 하늘로 올라갔다는 상강선(上降仙)마을, 상강시이마을이 있다.

김유신 장군이 18살 되던 해에 고구려 첩자(諜者)인 백석의 꼬임에 속아서 죽을 위기가 닥친 적이 있었는데 나림(나력 즉 낭산)과 안강의 혈례(穴禮)와 영천의 골화(骨火), 3산의 신인(神人)인 세 낭자가 김유신을 구해 주었다. 일촉즉발(一觸卽發)의 위기에서 벗어난 후 재물(齋物)을 차려 정성을 다해 제사(祭祀)를 올리니 낭산(狼山)과 혈례(穴禮), 골화(骨火)3(三神)이 흡족(洽足)하게 제사상(祭祀床)을 받았으므로 낭산(狼山)은 국가 수호신인 여신이 항상 머무르고 있다고 확신했다.

삼국사기(三國史記)와 삼국유사(三國遺事)에 선덕여왕은 어느 날 문득 정미년(丁未年), , 64718일이면 자신이 죽는다고 하면서 “64718일 죽으면 낭산(狼山)의 남쪽 도리천(忉利天)에 묻어달라라고 당부(當付)했다. 선덕여왕 16, 진덕여왕 원년, 즉 정미년(丁未年) 18일 정확하게 승하(昇遐)하자 신하들은 선덕여왕이 살아생전 원하던 곳인 경주시 배반동 산 32번지와 경주시 보문동 산 79-2번지의 정상(頂上)의 경계에 장사(葬事)를 지냈다.

 -다음호에 계속

황성신문 기자  
- Copyrights ⓒ황성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스토리네이버블로그
 
이전 페이지로
실시간 많이본 뉴스  
경주 배경 김다현의 ‘천년 사랑’ 국내·외 공개..
‘화랑대기 전국 유소년 축구대회’ 2030년까지 개최..
‘2025 화랑대기 전국 유소년 축구대회’ 팡파르..
한수원, 2025년 협력사 ESG 지원사업 추진 업무협약 체..
경주시-중국 둔황시 우호 협력 공식화 했다..
데이빗 로든, 경북도 투자유치 홍보대사 경주방문..
김민석 국무총리, "APEC 성공 개최에 만전 기해달라"..
문화관광·과학도시 경주, 교육특구 도시로 재탄생..
경주소방서, APEC 대비 사다리차 반복 훈련..
경주시, 양성평등기금 오는 2030년까지 연장 추진..
최신뉴스
소비쿠폰 사용 경주경제에 뚜렷한 효과 입증..  
김문수 국민의힘 당대표 후보, 경주 방문···지지호소..  
조현 외교부 장관 경주서 APEC 현장점검..  
경주시장 기고문-천년의 수도 경주, APEC 2025로 ..  
황오동과 중부동 통합 위한 합동 상견례..  
세계유산축전 경주시 홍보지원단 출범..  
경주시청 태권도팀, 전국대회서 금1 동1..  
하이코, ‘로컬브랜드페어 2025’산자부 선정..  
주낙영 시장, 국소본부장 회의 주재..  
경주시, APEC 대비 공무원 역량강화 교육..  
경주시문인협회, 제37회 신라문학대상 공모..  
한 여름밤 경주를 화려한 아티스트 들이 물들인다..  
경주시, 황금카니발 명칭·콘텐츠 무단 사용 아니다..  
경주 인왕동 네거리에 문화공원 조성한다..  
광복 80주년 맞아 나라사랑 태극기 달기 캠페인..  

인사말 윤리강령 윤리실천요강 편집규약 광고문의 제휴문의 개인정보취급방침 찾아오시는 길 청소년보호정책 구독신청 기사제보
상호: 황성신문 / 사업자등록번호: 505-81-77342/ 주소: 경상북도 경주시 용황로 9길 11-6 (4층) / 발행인: 최남억 / 편집인: 최남억
mail: tel2200@naver.com / Tel: 054-624-2200 / Fax : 054-624-0624 /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경북 다01438 / 청소년보호책임자 : 최남억
본지는 신문 윤리강령 및 그 실요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