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주 지역 수도 녹물에 대한 이야기는 이제 하지 마라
경주시, 수돗물 관리에 ICT 기술 접목
51억 원의 예산을 들여 전지역 스마트 관리
백순혜 기자 / 입력 : 2023년 11월 17일(금) 15:32
|
|  | | ⓒ 황성신문 | | 경주시가 K-water 경북지역협력단과 함께 정수장에서 수도꼭지까지 수질‧수량 관리를 실시간 감시하고 자동제어하는 통합운영 시스템을 도입했다. 경주시는 51억 원의 예산을 들여 지난 2021년 3월부터 올해 11월까지 경주시 전역을 대상으로 스마트 관망관리 인프라 구축사업을 완료했다고 지난 16일 밝혔다. 스마트 관망관리는 수돗물 공급의 모든 과정에 정보통신기술(ICT)을 도입해 주기적인 유지관리로 적수(붉은 수돗물=녹물) 등 상수도 사고 위험을 사전에 제거하고 사고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하는 시스템이다. 그간 상수도관을 한번 매설하면 다년간 관로 내부 세척 없이 사용함에 따라 수질 악화는 물론 수도관 내구성이 취약해져 누수 사고 등의 문제점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이 시스템은 수질 사고에 대한 신속한 대응과 최첨단 통신 인프라를 활용한 스마트 물관리가 핵심이다. 주요 사업으로는 실시간 수질 감시와 관리를 위한 정밀여과장치 6곳, 수질오염 신속 대응을 위한 자동 드레인 3곳, 적수 사고에 대비한 관 세척 장비 28곳을 설치했다. 또 수질측정장비를 비롯해 각종 수질 사고 재발 방지를 위한 소규모 수량계 14곳, 스마트 미터링계, 스마트 수압계 등도 함께 설치했다. 시는 이번 사업을 통해 실시간 수질·수압 감시, 관로 내부에 축적된 이물질 감지 및 오염물질 자동 배출이 가능해진다. 특히 스마트미터링 사업을 통한 원격검침시스템 구축으로 검침원이 가정을 직접 방문 확인하지 않고 디지털 계량기와 단말기를 통해 수도요금이 부과된다. 더욱이 관 세척으로 수도관 내부의 침전물, 녹 등을 제거해 수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깨끗한 수돗물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주낙영 시장은 “수도 녹물은 이젠 옛말이 됐으며, 이번 사업으로 수돗물의 안정적인 공급과 안전한 수질 관리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며 “향후 수질 민원 발생지역을 등을 중심으로 확대 설치를 하겠다”고 강조했다.
|
|
백순혜 기자 - Copyrights ⓒ황성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
|
최신뉴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