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장군교 보행자 우선?···교통약자 통행 고려 안했나
오토바이 통행 막으려다 휠체어 통행까지 막아
경주시, 보행자 안전만···시설개선 하겠다 ‘인정’
신용소 기자 / 입력 : 2024년 04월 19일(금) 15:53
|
|  | | ⓒ 황성신문 | | 경주시가 추진한 장군교 경관개선 사업이 교통약자의 보행 환경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았다는 지적이 제기돼 ‘교통약자를 무시한 탁상행정’이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장군교는 도심권역과 흥무공원을 이어주는 인도교로 과거 열차가 다니던 철교였다. 철거된 철도 교각을 활용해 보행자 전용 다리를 설치해 현재는 시민들이 도보로 형산강을 건너 산책을 즐기고 있다. 야간 경관조명 설치로 주변 환경과 어우러져 환상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장군교는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해 오토바이 통행을 금지하고 있다. 하지만 시설 노후로 도시미관을 저해함은 물론 ‘오토바이 통행금지’ 구역인 이곳을 일부 오토바이 운전자들의 무단 통행으로 보행자가 안전을 위협받으면서 시민들의 민원이 끊이지 않아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돼 왔다. 이 같은 민원이 제기되자 경주시는 총 25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지난해 초부터 이 교량의 낡은 난간을 교체하고 보행로를 보수하는 등 쾌적한 보행 환경을 조성했다. 이 과정에서 오토바이의 무단 통행을 제어하기 위해 교량 양 끝 출입구에 폭 90cm 오토바이 차단시설을 설치했다. 그러나 이 차단시설은 출입구가 좁은데다 C자 형태로 휘어져 있어 휠체어나 유모차 등의 통행에 방해가 되는 형태로 설계돼 교통약자의 이동권을 심각하게 침해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경주시가 여기까지는 예단하지 못 한체 시설개선을 한 것이다. 실제 지난 주말 척수장애인 A씨는 “휠체어를 타고 교량을 건너려다 차단시설 출입구에 휠체어가 끼이는 난감한 사건이 발생했다”며 “다행히 지나가는 시민들의 도움으로 겨우 그곳을 빠져나올 수는 있었지만 이 과정에서 휠체어가 일부 파손됐다”며 상황을 설명했다. A씨는 또 “장애인 이동권은 가장 기본적인 권리인데도 불구하고 경주시가 보여주기식 정책에만 몰두하느라 외면당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휠체어를 사용하는 척수장애인은 누구보다도 이동권 보장이 필요한데, 장애인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장애인과 임산부 등 교통약자들의 의견을 반영해 시공해야 했다”고 주장했다. 장애인 단체 한 관계자는 “경주 지역 모든 도로나 시설이 장애인에게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지만 문제가 있는 곳이 더 많은 건 사실”이라며 “경주시가 관심을 가지고 최소한의 이동권이라도 차별 없이 동등하게 보장해 달라”고 촉구했다. 이에 대해 경주시 관계자는 “설계 당시 오토바이 통행금지에 집중하면서 교통약자의 이동 편의를 간과한 점이 있었다”며 “최근 이와 관련된 민원을 접수하고 경주시 척수장애인 협회와 노인회 등 유관 단체들과 개선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개선 방안이 도출되는 대로 교통약자의 안전과 편의를 위한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시민 김 모(성건동 62)씨는 “경주시가 보행자 보호를 위해 오토바이 차단시설은 아주 잘한 것으로 보인다”며 “그러나 교통약자들의 편의는 최우선 고려돼야 할 사항인데 간과한 것 같다”며 “오토바이 출입을 법으로 통제할 수 없으면 조례를 만들어 과태료를 부과한다든가 하는 방법과 그것도 안 되면 현수막을 걸고 대시민 홍보를 통하거나 시니어들을 활용해 통제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신용소 기자 - Copyrights ⓒ황성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
|
최신뉴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