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울 3호기 ‘최장기 연속 무정지 운전 4천880일’신기록 달성
LNG 대비 12조 8천억원, 온실가스 약 4천170만톤 저감 효과
이종협 기자 / 입력 : 2024년 08월 02일(금) 15:50
|
한국수력원자력(사장 황주호, 이하 한수원)의 한울3호기(가압경수로형, 100만kW급)가 국내 원전 최초로 무려 16년(10주기) 연속 무정지 운전을 달성하는 쾌거를 거뒀다. 지난 1998년 8월 상업운전을 개시한 한울3호기는 한국표준형원전(OPR1000)으로 건설된 최초의 원전이다. 한울3호기는 2008년 7월 25일부터 2024년 7월 27일까지 계획예방정비 기간을 제외하고 4천880일 동안 무정지 연속운전을 기록하며, 국내 원전 가운데 최장기간 무정지 연속운전이라는 신기록을 세웠다. 한주기 무정지 운전은 계획예방정비 완료 후 계통연결 시점부터 다음 계획예방정비를 위한 계통분리 시까지 발전소가 정지 없이 안정적으로 운전되는 것을 의미하며, 운전·정비·운영관리 능력 등 원전 운영의 안전성과 기술 능력을 입증하는 대표적인 지표가 되고 있다. 한울3호기는 그동안 증기발생기, 주변압기 등 대규모 설비개선과 다빈도 고장 설비를 적기에 교체하는 등 다방면으로 노력하며 지속적으로 운영 능력을 높여왔다. *원자로 조종사/감독자 면허 취득자 69/27명 배출(2014년 이후), 우수 원전조종사/팀 9명/3팀 배출 등 한울3호기가 4천880일 동안 생산한 전력량은 115GWh로, 대구광역시의 7년간 전력 사용량(약 114GWh)을 넘어선다. 이는 LNG를 이용해 전력을 생산하는 것과 비교해 원전 2기 건설 비용과 맞먹는 약 12조8천억원*, 온실가스는 약 4천170만톤** 저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돼 한울3호기가 지속 가능한 친환경 에너지원으로서 국가 전력산업에 기여했음을 알 수 있다. * ‘08~‘23 연료별 정산 단가 적용 시, 원자력은 5조9천억원, LNG 18조7천억원의 비용 발생 **LNG의 CO2 배출계수 0.3625 톤-CO2eq/MWh 적용 시(한국전력거래소) 현재 한수원은 총 25기*의 원전을 운영 중이며, 지난 1978년 고리1호기 상업운전 이후 총 473회의 운전주기 중 231회의 무정지 운전을 달성했다. 호기당 고장정지율은 2023년 기준 약 0.08건/호기로 해외원전(美, 0.3건/호기) 대비 현저히 낮은 수준을 유지하는 등 세계 최고수준의 안전운영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계속운전을 위한 설비개선 중인 고리2호기 제외
|
|
이종협 기자 - Copyrights ⓒ황성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
|
최신뉴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