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주역세권 입주로 건천읍 인구증가...‘제로섬 게임’
한달새 350명 늘었지만, 경주 전체는 68명 감소
자연증가나 타지역 유입은 없는 ‘풍선효과’ 착시
이종협 기자 / 입력 : 2024년 08월 09일(금) 15:54
|
|  | | ↑↑ 지난달 17일부터 입주를 시작한 신경주 더 퍼스트 데시앙 아파트 | ⓒ 황성신문 | | 경주역 신도시에 아파트 입주가 시작되면서 건천읍 인구가 한 달 새 350명이 늘면서 도농복합 생활거점 지역으로의 성장·발전이 기대된다며 호들갑이다. 하지만 같은 기간 경주시 전체 인구는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자연증가나 타지역 유입은 줄어드는 ‘제로섬 게임’에 좋아할 일이 아니라는 지적이다. 경주시 인구 및 세대증감 현황에 따르면 건천읍의 인구는 7월말 기준 9천150명으로(전월 8천800명) 전월 대비 350명이 증가했고, 입주민 가운데 타지역 전입자는 57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7월말 기준으로 경주시 전체 인구는 24만5천601명으로(전월 24만5천669명) 한달 새 68명이 감소했다. 이처럼 지난달 17일부터 신경주 더 퍼스트 데시앙 아파트(945세대) 입주가 시작되면서 건천읍의 인구가 가파르게 상승해 경주의 신도시 주거지역으로 각광받을 것이라며 반기고 있다. 또한 전입자 중 젊은 세대들이 많아 자연 인구증가율 상승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대신 고령화 속도는 다소 늦춰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인구변화에 맞춰 건천읍행정복지센터는 새로 아파트로 입주하는 주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행정지원을 펼칠 방침이다. 이와 관련해 건천읍 담당 공무원은 “입주를 시작한지 보름 정도 지난 현재까지 데시앙의 총 945세대 중 25%가 입주 완료된 상태로 전체 세대에 입주가 완료되면 인구 증가폭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며 “내년 상반기 중 반도 유보라 등 3개 업체에서 준공되면 2천501세대가 추가 공급으로 인구 1만5천명 이상의 명실상부한 도농복합 생활거점 도시로 활력 넘치는 건천읍의 성장 발전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또한 “총면적 96만1천857㎡에 총사업비 5천400억원 규모의 국토부 공모사업인 ‘신경주 역세권 해오름 플랫폼시티 투자선도지구’ 사업이 2031년까지 준공되면 지역 성장 견인은 물론 경제·생활거점도시로 활력 넘치는 신주거문화 도시로서의 변화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경주 전체 인구는 매년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대규모 주거단지가 조성되면서 반짝 인구가 증가하는 경우도 있다. 불국동과 외동읍이 대표적인데 이들 지역은 타지역 인구유입 여부에 따라서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불국동의 경우 지난 1998년 통합 당시 9천290명에서 매년 인구감소가 이어졌으나, 2017년 6월 준공된 진현동 두산위브아파트 입주가 시작되면서 지역 유관 단체장과 주민들이 참석한 가운데 불국동 인구 1만명 달성 축하행사를 가졌다. 이러한 불국동도 현재는 9천793명으로 1만명 아래에 머물러 있다. 반면 외동읍은 20여 년 만에 인구 2만명을 회복했다. 지난 1996년 2만9천83명을 정점으로 해마다 줄어 2012년 한때 1만6천342까지 감소했다. 이후 외동읍 일대 산업단지 조성과 대단위 아파트단지 조성으로 울산 등지의 도시민들이 대거 유입되면서 2만명을 다시 돌파했다. 특히 유입 인구의 90% 이상이 울산 등 다른 시·군·구에서 유입된 것으로 분석됐다. 인구의 자연 감소를 뜻하는 ‘인구 데드크로스’가 2020년에 시작된 이후 우리나라 총인구까지 감소하고 있다. 국가 총인구가 감소하는 상황에서 지방소멸에 대응하기 위해 지역 간 ‘정주인구’ 확보 경쟁을 하는 것은 분명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한쪽의 이득이 또 다른 한쪽의 손해로 이어지는 ‘제로섬 게임’에 불과한 정주인구 확보 경쟁보다는 특정 지역에 거주하거나 체류하면서 생활을 영위하는 사람으로서 지역의 실질적 활력을 높이는 ‘생활인구’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제로섬 게임을 초래하지 않으면서 지방소멸 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생활인구는 인구의 양적 측면이 아니라 질적 측면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생활인구는 지역에 거주하는 인구뿐만 아니라 지역에서 소비하고 생산하는 인구를 모두 포함해야 한다는 것으로 향후 인구정책에 대한 생활인구의 정책적 활용과 접목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
|
이종협 기자 - Copyrights ⓒ황성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
|
최신뉴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