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에서도 돈이 되는 작물이나 사업을 잘 선택하면 얼마든지 도시에서 보다 여유 있는 삶을 살수 있다. 게다가 요즘 농업은 스마트폰으로 비닐하우스를 열고 덮고, 농작물에 물과 가축 사료도 줄 수 있는 세상이다. 역대 정부는 정부마다 귀농귀촌을 적극 장려하고 있다. 각 지지체는 차별화를 두고 귀농귀촌인들을 위한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다. 정부는 오래전부터 지역 균형발전, 인구 분산 등의 목표로 농촌살이에 대한 관심을 끌고 있다. 예전에는 지역 출신의 사람들이 은퇴 후 귀향을 했다면, 지금은 대안적인 삶을 위해 농촌으로 움직이고 있는 것이다.
돈벌이의 방식이 조금씩 변화하고 있다고 봐야 한다. 직업의 종류 다변화가 이뤄지고 있는 것이다. 각 지자체는 귀농귀촌을 한다고 하면 농가주택 자금을 빌려주고, 집수리를 위한 주택개량 자금도 지원해 준다. 또 농업창업 자금도 장기 저리로 빌려준다. 귀농귀촌을 적극 장려하고 있는 것이다. 귀농귀촌인들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는 유형별, 세대별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이 같은 정책 지원에 힘을 입고 있지만 문제는 농사를 잘 짖는 것만 아니라 농촌에서 행복한 생활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농촌에서의 삶을 위해 어떤 정책이 필요한지를 각 지지체는 연구 발굴해야 한다. 그래야 귀농귀촌인들이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농업 발전을 통해 그들이 어떤 미래를 꿈꿀 수 있을지를 고민해야 한다. 단순히 농사를 짖겠다는 생각만으로 귀농할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남기 때문이다. 지역에서 살아갈 수 있는 필요한 환경이 구축돼야 하는 것이다. 귀농귀촌 인구를 위해 어떤 정책으로 지원해야 하는 가도 고민의 대상이다. 왜냐면 귀농귀촌에 실패하는 사례에 관한 연구도 속속 보고되고 있기 때문이다.
경주시가 체계적인 지원과 차별화된 정책으로 예비 귀농‧귀촌인들의 관심을 끌며 차별화된 정책으로 귀농귀촌인들 유인에 나섰다. 인구 유입의 한 방법으로 귀농귀촌인들을 유치하자는 것이다.
이에 따라 경주시는 올해 귀농귀촌인들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입안했다. △그들을 위한 현장 실용 교육 △이사비 및 임시거주지 임차료 등 재정지원 △농업창업과 주택 구입 융자 △마을 환영 행사 등 귀농귀촌 초기 교육부터 경제적 지원까지 다양한 지원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또 앞서 말했듯이 이주한 귀농인의 초기 영농 실패의 부담을 줄이고자 선도 농가가 농장을 직접 방문해 영농기술과 시설 관리법 등의 컨설팅을 제공한다. 사업 초기 관심 있는 분야에 대한 기술도 지원한다. 작목 재배 기술 습득, 정착 과정 상담 등 현장실습 교육에 5개월간 참여한 귀농 연수생에게는 최대 월 80만 원, 선도농가에는 최대 월 40만 원을 각각 지원한다.
경주농업대학에서는 이달부터 오는 10월까지 귀농‧귀촌 과정뿐만 아니라 스마트농업, 치유농업 등 3개 과정을 주 1회(4시간) 운영한다. 재정적인 지원도 이뤄진다. 귀농인에게 최대 100만 원, 귀촌인에게 최대 20만 원의 이사비용을 지원한다. 이 같은 경주시의 지원 정책이 성공을 거두기를 기대해 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