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오피니언 > 수필
|
최종편집 : 2025-04-25 오후 03:11:15 |
|
|
|
|
|
출력 :
|
|
|
|
|
|
|
[수필]신작로가 된 강둑
|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가려면 길이 있어야 한다.
길은 한자어가 아닌 고유어다. 언제부터 ‘길’이라는 말이 사용되었을까?
문헌상 처..
황성신문 기자 : 2022년 12월 30일
|
|
|
|
|
|
|
|
[수필]정말 김대성 무덤일까
|
신라의 왕릉은 99.98%가 원형분(圓形墳, 둥근 무덤)이다.
그러나 신라에서 묻힌 사람의 이름도 확인되지 아니한 고분 하나가 있다. 누구..
황성신문 기자 : 2022년 12월 23일
|
|
|
|
|
|
|
|
[수필]거랑 길 자잉고 배우기
|
동네에서 자전거 보기도 힘든 시대였다. 윗시래에 한 부잣집 어르신이 한복 입고, 갓 쓰고 자잉고를 타고 다닌다. 편리한 듯 보였는데 모습은 참..
황성신문 기자 : 2022년 12월 16일
|
|
|
|
|
|
|
|
[수필]사행천 트럭 길, 거랑 길
|
가을 이후로는 비가 덜 내린다. 산골짜기로부터도 졸졸 흐르던 거랑물이 마르기 시작한다.
형산강 상류 시래천에도 물이 줄어든다. 천변언저리로..
황성신문 기자 : 2022년 12월 09일
|
|
|
|
|
|
|
|
[수필]주춧돌
|
천 년 신라의 궁궐터가 남아 있고, 그 큰 절터에서도 절은 허물어지고 없지만 그 주춧돌만은 오랜 세월 아직도 남아 있다. 건축하려면 튼튼한 주..
황성신문 기자 : 2022년 12월 02일
|
|
|
|
|
|
|
|
[수필]방구들 돌
|
초가는 여름이면 시원하다. 겨울이면 잉걸불 군불 때어 팔 배고 누웠으면 등 따시고, 게다가 배부르고 천하에 할 일이 없다.
일 많이 한..
황성신문 기자 : 2022년 11월 25일
|
|
|
|
|
|
|
|
[수필]시래천 모래는
|
모래(SiO2)가 그 모래이지 무슨 ‘시래천 모래’가 남다르냐? 물론 그 모래가 그 모래이지, 무슨 다른 모래가 있겠는가? 그러나 나잇살 ..
황성신문 기자 : 2022년 11월 18일
|
|
|
|
|
|
|
|
[수필]시래천 수석
|
시래천에 홍수나면 건지던 부유물도 많지만, 늘 보던 백사장이 아니고 새로운 수석(壽石, 水石)이라 불리는 산수경석이 간혹 ..
황성신문 기자 : 2022년 11월 11일
|
|
|
|
|
|
|
|
[수필]시래천 돌멩이
|
한때 우스갯소리가 들려 왔다. 라디오 진행자가 자기 이름을 ‘강가의 돌멩이’라고 했다.
왜 그런가하니 자기 이름이 ‘강석’이..
황성신문 기자 : 2022년 11월 04일
|
|
|
|
|
|
|
|
[수필]방죽과 마라톤
|
나와 방죽은 달리기로 인연한다. 1959년 사라호 태풍이 지나간 후 국가에서 예산 들여 스트레이트 방천을 만들었다. 조금 지나니 그 위에다..
황성신문 기자 : 2022년 10월 28일
|
|
|
|
|
|
|
|
[수필]넷째 형과 불도저
|
시래천 추억이다. 다섯 살 많은 넷째 형과 시래천 추억이다. 그 시대에 불도저(Bulldozer)라는 것은 괴력의 힘을 가진 괴물이라 처음..
황성신문 기자 : 2022년 10월 21일
|
|
|
|
|
|
|
|
[수필]방죽 밑에서
|
어린 날 추우면 집으로 들어갈 생각은 않고, 친구들과 몰려다니며 놀면서 추위를 스스로 체험하려고 떨고 있다. 그것도 방죽 밑에서 흙더미 파..
황성신문 기자 : 2022년 10월 14일
|
|
|
|
|
|
|
|
[수필]방죽의 철사
|
아버지는 농사지으면서 목수 일을 하였다. 그래서 반 농부요, 반 목수이다. 현대의 목수가 아니고, 초가를 짓는 그런 목수이다. 목수하면 ..
황성신문 기자 : 2022년 10월 07일
|
|
|
|
|
|
|
|
[수필]방죽 쓰레기더미에
|
어린 날 시래천이 형산강 상류인 줄도 새카맣게 모르고 살았다.
그냥 방죽은 마을에서 쓰레기 갖다버리는 곳인 줄만 알았다. 특히 열무ㆍ배..
황성신문 기자 : 2022년 09월 30일
|
|
|
|
|
|
|
|
[수필]산 달집태우기
|
정월 대보름날은 평소에 안 보이던 풍정이 보인다. 총각들이 대보름날 달뜨는 것을 가장 먼저 보고 소리 지르면 그 총각이 그 해에 장가갈 수..
황성신문 기자 : 2022년 09월 23일
|
|
|
|
|
|
|
|
[수필]시래천 백사장을 그리며
|
강의 부산물은 모래다. 너무나 당연한 자연의 이치에 따라 강바닥과 강가에 모래가 쌓인다.
산골짜기에 홍수나면 큰 바윗돌이 떨어져 물에 휩싸..
황성신문 기자 : 2022년 09월 16일
|
|
|
|
|
|
|
|
[수필]강을 건넌 형님들
|
사람은 죽어 북망산으로 간다. 북망산 가려면 강을 건넌다. 그 강은 죽음으로 건너는 강이다.
자연의 실체로는 그냥 강이지만 죽는 마당에 꿈..
황성신문 기자 : 2022년 09월 08일
|
|
|
|
|
|
|
|
[수필]홍수라도 막을 듯 - 송명비
|
홍수도 막을 듯한 기를 가진 차성이씨 39세 송명거사 수상(壽祥)공의 비문을 여기 옮긴다.
만물은 가만히 있고자 하여도 제 위치를 지키지 ..
황성신문 기자 : 2022년 09월 02일
|
|
|
|
|
|
|
|
[수필]묵장산에 소낙비 묻다
|
하루 일기를 보고 다녀야 낭패를 보지 않는다. 그래서 일찍부터 “남자는 돈, 우산, 선의의 거짓말을 가지고 다녀라.”고 하였다. 양반은 ..
황성신문 기자 : 2022년 06월 24일
|
|
|
|
|
|
|
|
[수필]섶 다리
|
영주에는 무섬다리, 주천에는 섶 다리, 예천 회룡포에는 뿅뿅다리 등이 있다. 일찍부터 내가 살던 고향에서도 남천 상류 시래천을 건너다니는 사람..
황성신문 기자 : 2022년 06월 16일
|
|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최신뉴스
|
|
|